삼성전자 8만원 깨졌는데…SK하이닉스는 '고공행진' 더 갈까?

김진석 기자 2024. 5. 21. 13: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반도체 빅2의 운명이 엇갈렸다.

삼성전자가 8만원을 내주며 고전하는 사이 SK하이닉스의 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간다.

고영민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이클의 주도 상품이 HBM에 이어 SSD까지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쿼드레벨셀(QLC) SSD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솔리다임' 인수 시너지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SK하이닉스를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포인트]


국내 반도체 빅2의 운명이 엇갈렸다. 삼성전자가 8만원을 내주며 고전하는 사이 SK하이닉스의 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간다.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의 실적 성장과 주가 상승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목표주가를 줄줄이 높이고 있다.

21일 오전 11시 4분 기준 코스피 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전날보다 1900원(1%) 오른 19만2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의 동반 하락에도 홀로 오름세를 이어간다. 지난해 5월 24일 기록한 52주 최저가(9만6300원)보다 99% 올랐다.

이날 강세는 간밤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등 기술주가 상승 마감 영향으로 해석된다. 글로벌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는 전 거래일보다 2.49% 오른 947.8달러에 마무리했다. 같은 기간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2.15% 상승한 5090.35에 마쳤다.

안정적인 실적이 주가 상승 뒷받침한다.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44% 증가한 12조4296억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2조8860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영업이익 면에서 시장 기대치를 53% 웃돌았다.

1분기 DRAM(디램)과 NAND(낸드) 가격이 전 분기 대비 각각 20%, 30% 상승하며 호실적을 견인했다. 아울러, 디램에서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낸드에서는 엔터프라이즈 SSD(eSSD)의 고부가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도 가능했다.

이와 관련,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디램 가격이 가정치를 상회했고, HBM을 필두로 고부가 제품의 비중 확대가 이뤄지며 수익성이 호조세를 보였다"며 "낸드 출하는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올라 수익성이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 실적 추이/사진=뉴스1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증권은 SK하이닉스의 2분기 매출액을 전 분기 대비 30% 증가한 16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82% 늘어난 5조20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디램의 출하량·가격, 낸드의 가격 상승을 기대 요인으로 꼽았다.

증권가 목표주가도 따라 오르고 있다. 현재 증권가의 평균 투자의견은 '매수'다. 평균 목표주가는 22만3600원이다. 1분기 실적 발표 후 리포트를 낸 증권사 중 가장 높은 목표주가를 제시한 다올투자증권은 26만원을 내놨다. 현재 주가 대비 35%의 상승 여력이 있다.

고영민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이클의 주도 상품이 HBM에 이어 SSD까지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쿼드레벨셀(QLC) SSD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솔리다임' 인수 시너지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SK하이닉스를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김진석 기자 wls7421@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