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강성 동시에” 천연소재로 플라스틱 필름 만든다

2024. 5. 21. 09: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연에서 스스로 분해되면서, 기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단점까지 일거에 해결한 친환경 고강도 플라스틱 필름이 등장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녹색순환연구부문 홍성우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도입,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생분해성 필름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도입 고강도 필름 개발
이번 연구를 수행한 홍성우(왼쪽) 박사 연구팀.[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자연에서 스스로 분해되면서, 기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단점까지 일거에 해결한 친환경 고강도 플라스틱 필름이 등장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녹색순환연구부문 홍성우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도입,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생분해성 필름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나무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잘게 쪼갠 천연 소재로, 생분해성과 재생 가능성이 우수하고, 철 대비 무게는 5분의 1에 불과하면서 강도는 5배 높아 제2의 탄소섬유로 불린다.

2022년 기준 연간 4억3천만톤 가량 생산되는 전 세계 플라스틱 대부분은 난분해성 소재로 만들어져 폐기 후 분해되지 않고 환경과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산업용 플라스틱 소재의 약 40%를 차지하는 패키징 분야에서 플라스틱 필름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폐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생분해성 필름이 개발되고 있지만, 자연에서 분해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범용 플라스틱 대비 기계적 물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친환경 플라스틱의 생분해성과 기계적 물성 간 트레이드 오프(Trade-off)라고 부르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필름 응용 분야에 활용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혀 왔다.

연구팀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대표적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와 결합해 생분해성과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갖춘 친환경 필름 개발에 성공했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수소 결합에 의해 강하게 뭉쳐있는 형태로 존재하는데, 뭉친 상태 그대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도입할 경우 오히려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옥수수에서 유래한 이소소바이드(Isosorbide) 물질을 함유한 기능성 분산제를 개발해 뭉쳐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덩어리를 생분해성 플라스틱 내에 고르게 분산시켰다.

그 결과 생분해성과 기계적 물성 간 트레이드 오프가 극복돼 기존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기반 필름 대비 인성(질긴 정도)이 77% 상승한 고강도 생분해성 필름 제조에 성공했다.

홍성우 수석연구원은 “플라스틱 규제 강화에 대비해 천연 소재인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친환경 보강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주목했다”며 “확보한 성과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자동차, 전자기기, 의료기기 등 산업 전반에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 개발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5월 1일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