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6G 급한데 지지부진한 지원

이재현 기자 2024. 5. 21. 06: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대 국회 이것만큼은 하자] ③ 6G 상용화 위해 정부 지원 확대돼야
[편집자주] 신사업 추진에 마음이 급하지만 통신업계의 고민이 깊다. 제22대 국회에서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를 비롯해 통신 정책 관련 입법들이 논의되기 때문이다. 통신업계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미래 먹거리를 위한 실탄이 절실하지만 정치권의 통신비 인하 요구가 높아지면 투자 여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한다. 정치권이 통신비 부담 절감에만 집중하지 말고 6세대 이동통신(6G), AI 등 통신사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주길 바란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 목표인 6세대 이동통신(6G) 상용화 시점인 2028년까지 4년이 남은 가운데 통신 3사 등 관련 기업들은 관련 기술 주도권 확보 및 실증에 나서고 있다.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 획득엔 성공했지만 동력을 상실해 주도권을 뺏긴 5G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글로벌 기술 표준 개발 등을 위한 정치권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온다.


6G 글로벌 패권 잡기 나선 정부·통신3사


LG유플러스는 글로벌 통신장비 제조사 노키아와 함께 6G에 대비해 가상화 기지국 장비 생존성을 강화하는 6G 클라우드 기술 검증을 성공했다. /사진=LG유플러스
정부는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6G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4407억원 규모로 6G 상용화·표준화 기술개발(R&D)을 추진하고 있다. ▲무선통신 ▲모바일코어 ▲6G 유선네트워크 ▲6G 시스템 ▲6G 표준화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이 추진된다.

6G의 이론상 속도는 1Tbps다. 이론적으로는 5G 최고속도인 20Gbps보다 50배 빠르다. 6G가 상용화될 경우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해 전 산업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로봇, 확장현실(XR) 등 미래 먹거리의 핵심기반으로 꼽힌다.

KB경영연구소는 "6G가 도입되면 실시간 재난 모니터링, 첨단 무인 생산환경 등 산업 인프라 뿐만 아니라 실시간 원격 의료 서비스, 가상공간 활성화 등 개인 삶의 모든 분야에서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것"이라며 "6G 이동통신의 향상된 성능으로 산업 생태계에 새로운 변화를 불러 일으키며 일상생활과 공공서비스를 비롯한 제조, 의료, 교통, 금융, 공공 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2019년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한 국내 통신 3사도 6G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술 검증 및 개발부터 6G 후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실측은 물론 6G 기술의 핵심으로 꼽히는 양자 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SK텔레콤은 6G 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망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 학계와 함께 6G 후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실측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해당 6G 후보 주파수 대역은 4기가헤르츠(㎓) 대역 일부와 7~15㎓ 대역 및 일부 고주파대역이다. 노키아 등 양자 분야 핵심 기술과 부품을 보유한 6개 기업과 '퀀텀 얼라이언스'도 설립했다.

KT는 LG전자·코닝과 함께 6G 주파수 후보 대역인 8㎓, 15㎓ 대역에서 동작하는 RIS(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를 개발·검증했다. RIS는 전파가 통과하기 어려운 건물 내부에 투명한 유리나 반사체를 부착해 전파 도달 범위를 확대하는 기술이다. 또 '하이브리드형 양자 보안망'을 신한은행 내부에 임시로 구축하고 그 성능을 검증했다.

LG유플러스는 노키아와 협력해 가상화 기지국 장비 생존성을 강화하는 6G 클라우드 기술 검증을 성공했다. 끊김 없는 네트워크 운영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6G에 대비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적극적인 정부 지원 뒷받침돼야


/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는 5G에 이어 6G도 세계 최초 상용화를 이뤄내며 글로벌시장 패권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5G도 상용화 5년이 지난 현재까지 충분히 안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충분한 지원이나 서비스 개선 없이 6G를 준비한다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지구 상공에 위성을 띄워 오지나 바다 등 통신 사각지대가 없는 환경을 구축하는 저궤도 위성 통신은 6G 핵심으로 떠올랐지만 관련 지원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앞서 2030년까지 6G 통신 전용위성 4기를 발사하는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저궤도 통신위성 예비타당성조사'는 2021년과 2022년 두 차례 무산됐다. 국방·안보 및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인프라지만 투자 비용이 커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1월 세번째 예타 조사 대상으로 선정돼 투자 여부를 다시 논의 중이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패권을 잡기 위해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에 힘을 쏟아야 한다며 정부의 많은 지원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6G 위성인터넷 시장의 주도권 잃지 않으려면 궤도 주파수 자원 발굴과 관련 국제 표준 선점 등 선제적인 준비는 필수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등 국가들과 비교해 6G 시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은 아직 부족하다"며 "예산이나 입법 지원에 총력을 다해야 글로벌 패권 경쟁에서 기술 주도권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현 기자 jhyunee@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