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서 빚갚는 카드론 대환대출 1년새 6000억원 증가

최정훈 2024. 5. 21. 0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은행 등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이 4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카드론을 제때 갚지 못한 차주가 돌려막기로 활용하는 대환대출 잔액도 1년 만에 6000억원가량 증가하면서 카드사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올해 1분기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은 1조 7441억원으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와 함께쓰는 스페셜리포트]
서민급전창구 카드론 40조 ‘육박’…역대 최다 또 ‘경신’
카드론 대환대출 1년만에 6000억 늘어…부실 우려 ‘쑥’
“카드론·대환대출 증가, 중장기적 건전성 위험 더 커져”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은행 등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이 4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카드론을 제때 갚지 못한 차주가 돌려막기로 활용하는 대환대출 잔액도 1년 만에 6000억원가량 증가하면서 카드사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2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신한·KB국민·삼성·롯데·현대·하나·우리·BC카드 등 8개 전업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37조 206억원으로 전달(36조 5412억원)보다 4794억원 늘었다. NH농협카드를 포함한 카드론 잔액도 올해 4월 말 기준 39조 9644억원으로 한 달 전(39조 4821억원)보다 늘어나며 40조에 육박했다.

카드론은 은행이 아닌 카드사에서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무담보 대출을 뜻한다. 정식 명칭은 ‘장기카드대출’이다. 별다른 심사 과정을 거치지 않는 간편한 대출이라는 특징 때문에 카드론은 서민들의 급전 창구라고 부른다. 특히 올해 1분기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은 1조 744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1조 1448억원) 대비 5992억원(52.3%) 증가한 액수다. 카드론 대환대출은 카드론 연체자를 대상으로 상환할 자금을 다시 빌려주는 상품이다. 연체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신용등급이 하락하고 이자 부담은 커진다.

카드사별로 롯데카드와 하나카드의 대환대출이 급증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롯데카드의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은 14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527억원)보다 181.42% 급증했고 하나카드는 같은 기간 753억원에서 1669억원으로 121.68% 증가했다. 다른 카드사도 증가세가 두드러지긴 마찬가지다. 대환대출 잔액이 늘어나는 건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이어져 차주의 상환 능력이 계속해서 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특히 대환대출 잔액의 증가세에 대해 카드사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가뜩이나 연체율이 오르고 있어 카드사의 건전성 관리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1분기 기준 카드사의 연체율은 오르고 있다. 하나카드의 연체율이 1.94% 가장 높았다. 지난해 말 1.67%에서 3개월 만에 0.27%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말 1.45%에서 올해 1분기 1.56%로 0.11%포인트 올랐으며 우리카드도 지난해 말 1.22%에서 올해 1분기 1.46%로 연체율이 0.24%포인트 악화했다. KB국민카드는 같은 기간 연체율이 1.03%에서 1.31%로 0.28%포인트 오르면서 5개 카드사 중 가장 상승 폭이 컸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의 대환대출은 부실 대출을 늘리는 것이기 때문에 부담이 적지 않다”며 “카드사가 심사 과정에서 차주의 상환능력을 고려해 대환대출을 해주고 있지만 규모가 계속해서 커지면 연체율에 결국 악영향을 줄 것이다”고 설명했다.

최정훈 (hoonis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