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남극 해빙 기록적 감소는 2천년에 한 번 있을 사건"

이주영 2024. 5. 21.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년 겨울은 남극 해빙(sea ice)이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에 도달한 해로 기록됐다.

이런 남극 해빙의 기록적 감소는 기후변화가 없다면 2천년에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연구팀은 발생 확률이 100분의 1 미만인 사건은 매우 드문 경우로 간주한다며 지난해 같은 남극 해빙 감소는 기후변화가 없었다면 2천년에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극단적인 사건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英 연구팀 "원인은 기후변화…20년 지나도 회복 안 될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2023년 겨울은 남극 해빙(sea ice)이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에 도달한 해로 기록됐다. 이런 남극 해빙의 기록적 감소는 기후변화가 없다면 2천년에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남극 해빙 조사하는 영국 남극연구소 항공기 [BAS/Adam Bradle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영국 남극연구소(BAS) 레이철 다이아몬드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21일 과학 저널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서 남극 해빙 감소와 기후변화의 연관성을 분석, 지난해 같은 남극 해빙의 기록적 감소는 기후변화가 없을 경우 2천년에 한 번 일어날 만한 사건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겨울 남극 해빙은 영국 본토 대부분을 차지하는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10배 가량인 200만㎢ 이상이 줄며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에 도달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감소는 위성 관측이 시작된 1978년부터 2015년까지 남극 해빙이 증가 추세를 보인 것을 고려하면 매우 놀라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에서는 제6차 결합 대순환모델 비교프로젝트(CMIP6)라는 대규모 기후 데이터 세트를 사용해 지난해의 전례 없는 해빙 감소를 조사했다. 18가지 기후모델 데이터를 분석해 해빙의 급격한 대량 감소 사건 발생할 가능성과 그것이 기후변화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파악했다.

남극 로테라 포인트 해빙 모습 [BAS/Steve Gib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 결과 남극 해빙의 감소 가능성은 온난화로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지난해처럼 급격히 감소하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은 여전히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발생 확률이 100분의 1 미만인 사건은 매우 드문 경우로 간주한다며 지난해 같은 남극 해빙 감소는 기후변화가 없었다면 2천년에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극단적인 사건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인 캐럴라인 홈즈 박사는 "기후모델 연구 결과 강력한 기후변화가 해빙의 급격한 감소 가능성을 4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지난해 남극 해빙 급감의 원인이 기후변화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남극 반도 라이더만의 해빙 [BAS/Lloyd Peck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기후모델을 사용해 감소한 해빙이 얼마나 잘 회복될 수 있는지 살펴본 결과 지난해 같은 남극 대륙 주변의 극심한 해빙 손실은 20년이 지나도 모두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남극 해빙 감소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해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수면 아래 저장된 열과 해류 순환, 지난해 상반기의 수온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인 루이스 사임 박사는 남극 해빙 감소가 남극해의 지속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고 남극 해빙은 기후변화에 대한 전반적 이해에도 매우 중요하다며 "남극 해빙이 20년 이상 낮게 유지되면 지역 및 전 세계 날씨와 남극해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Rachel Diamond et al., 'CMIP6 models rarely simulate Antarctic winter sea-ice anomalies as large as observed in 2023', doi.org/10.1029/2024GL109265

scitec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