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설중 35초간 ‘얼음’ 78세 트럼프, 고령 리스크 부상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2024. 5. 21.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연설 중 돌연 약 35초간 발언을 하지 못하고 얼어붙은 듯한(freeze)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통상 유세를 할 때 막바지에 '1·6 의사당 난입 사태'를 주도한 우파 집단 '큐어논'의 주제곡 'WWG1WGA(우리가 가는 곳은 모두 함께 간다)'가 나오면 극적 효과를 끌어내기 위해 수 초간 발언을 멈춘 뒤 "미국은 쇠퇴하고 있다"며 연설을 이어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0분 연설 마무리서 돌연 발언 멈춰
바이든 지지자들 “트럼프 노망났다”
트럼프측 “극적 효과 내려 했던 것”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8일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전미총기협회 연례회의에서 연설 도중 갑자기 침묵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연설 시작 약 1시간 20분쯤에 아무런 말도 없이 30초가량 멈춰 있었다. RSBN 유튜브 화면 캡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연설 중 돌연 약 35초간 발언을 하지 못하고 얼어붙은 듯한(freeze) 모습을 보였다. 78세인 트럼프 전 대통령과 82세인 조 바이든 대통령은 11월 대선에서 누가 이기더라도 역대 최고령 대통령 기록을 쓰게 된다. 그간 고령 리스크는 느릿느릿한 걸음걸이, 잦은 건강 이상설 등에 휩싸인 바이든 대통령에게 주로 제기됐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각종 민형사상 재판으로 일주일에 4일은 재판에 참석하고, 주말에는 대선 유세에 나서는 강행군을 소화하면서 그에게도 본격 적으로 부상하는 모양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18일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전미총기협회(NRA) 연례총회에서 1시간 반에 이르는 연설을 마무리하기 전 돌연 발언을 멈췄다. 그런 뒤 고개를 천천히 좌우로 흔들고 인상을 쓰고 마치 얼어붙은 듯 앞을 주시하며 선뜻 입을 떼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통상 유세를 할 때 막바지에 ‘1·6 의사당 난입 사태’를 주도한 우파 집단 ‘큐어논’의 주제곡 ‘WWG1WGA(우리가 가는 곳은 모두 함께 간다)’가 나오면 극적 효과를 끌어내기 위해 수 초간 발언을 멈춘 뒤 “미국은 쇠퇴하고 있다”며 연설을 이어간다. 하지만 이날 연설이 중단된 것은 35초가량으로, 마치 정지화면 같은 모습을 보이다 가까스로 연설을 마쳤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대파들은 그가 뇌의 이상으로 일시 마비 증상을 보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자 모임 ‘바이든 승리’는 소셜미디어에 급속도로 확산되는 이 장면을 거론하며 “미국인들이 트럼프가 노망(senile)이 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이를 리트윗해 달라”고 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바이든 대통령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부인의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고 직접 가세했다.

반면 트럼프 캠프 측은 “드라마적인 효과를 내기 위한 것”이라며 건강 이상설을 일축했다. 지지자들은 발언 당시 텔레프롬프터가 고장 났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동안 바이든 대통령을 두고 “자막기 없이는 한마디도 못 한다”고 공격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