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클럽] 기록의 승리

곽아람 기자 2024. 5. 21. 00: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는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를 쓴

스티븐 레비츠키와 대니얼 지블랫의 신작이라는 것 만으로 화제가 된 책입니다.

두 사람 다 정치학자이자 하버드대 교수입니다.

책의 요지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은 다수결인데,

다수파의 독주를 막고 소수의 이익을 위한 장치들이

오히려 극단적 소수가 전횡을 일삼을 수 있도록

악용된다는 내용.

저자들은 선거인단을 통한 간접선거인 미국 선거제도부터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결국 문제는 헌법인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성문 헌법인

미국 헌법이 18세기 문헌으로 민주주의 이전의 것이라 개헌을 쉽게 해야 한다는 것.

저자들은 모든 국민들에게 투표권을 보장해야 하고

신분증을 발급해 투표를 쉽게 만들며,

유권자 자동 등록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을 합니다.

미국 선거제도와 헌정사에 대한 완벽한 이해 없이는 읽기 힘든 책이었지만

민주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담겨 있어

그 부분에 집중한다면 숙고할만한 가치가 있는 책입니다.

美민주주의 망친 건 ‘소수의 폭력’ 눈감은 민주주의자

내 가장 큰 소망은 저널리스트가 되는 거야. 그리고 나중엔 유명한 작가가 되는 거고. 이 원대한 환상(혹은 망상!)이 실현될지는 지켜봐야 하겠지. 그렇지만 지금까지는 글감이 부족했던 적은 없어. 어쨌든간에, 전쟁이 끝나면 난 ‘은신처’라는 제목의 책을 펴 내고 싶어. 성공할 수 있을진 두고 봐야 하겠지만, 내 일기장이 그 밑거름이 되어 줄거야.

안네 프랑크(1929~1945)의 1944년 5월 11일 일기에서 옮겨온 이 구절을,

얼마 전 암스테르담의 안네 프랑크 하우스에서 읽었습니다.

안네가 가족들과 함께 1942년 7월부터 2년간 숨어 살았던 은신처를 전시장으로 개조한 곳입니다.

안네 프랑크 하우스는 1957년 문을 연 이래 암스테르담 최고의 관광명소가 되었다.

안네는 13세 생일날인 1942년 6월 12일 일기장을 선물받습니다.

‘안네의 일기’를 처음 읽은 10대 때는 고작 일기장 선물에 기뻐하는 안네가 이해되지 않았는데,

이번에 일기장 원본을 보니 평범한 공책이 아니라 빨간색 체크무늬 천으로 감싸인 ‘다이어리’더군요.

안네는 이 일기장에 글을 적을 뿐 아니라 친구와 찍은 사진 등을 잔뜩 붙여놓았습니다.

요즘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다꾸’(다이어리 꾸미기)의 선두 주자였던 셈이죠.

빨간색 체크무늬 천으로 감싸인 안네의 일기장. /안네프랑크 하우스

‘키티’라 이름붙인 이 일기장을 안네는 은신처로 피신할 때 가장 먼저 챙길 정도로 애지중지합니다.

그는 일기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추억은 내게 옷가지보다 더 소중하니까.
Anne Frank, the youmg Jewish girl whose diary of hiding from the Nazis in a Dutch attic came to symbolize the horror of the Holocaust, is the subject of a film made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her death. In the film, "Anne Frank Remembered" which has been nominated for an Academy Award this year, director Jon Blair seeks to find the real girl underneath the mythology that surrounds her. Frank is shown in an undated photo from the film. /Reuters

누군가의 밀고로 은신처가 발각되고, 안네는 수용소로 끌려가 티푸스로 숨집니다.

그러나 일기를 책으로 출간하고 싶다는 소망은

가족 중 홀로 살아남은 아버지 오토 프랑크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암스테르담엔 반 고흐 미술관 등 명소가 여럿 있지만,

그 중 가장 관람이 어려운 곳이 바로 안네 프랑크 하우스입니다.

방문일 6주 전부터 온라인 예약이 가능하지만 금세 매진돼 표를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

홀로코스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도 이유겠지만,

결국 안네가 남긴 이야기가 사람들 기억 속에 살아 숨쉬고 있기 때문이겠지요.

기록하는 자가, 승리합니다. 곽아람 Books 팀장

북클럽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20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