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해외직접투자 44%가 미국…반도체·배터리 영향

이도윤 2024. 5. 20. 19: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의 해외직접투자(ODI)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43.7%로 지난 198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이 해외기업들의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국내 이차전지와 반도체 핵심 기업이 미국 진출을 늘린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오늘(20일) 발간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현황과 경제적 창출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ODI는 총 634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해외직접투자(ODI)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43.7%로 지난 198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이 해외기업들의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국내 이차전지와 반도체 핵심 기업이 미국 진출을 늘린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오늘(20일) 발간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현황과 경제적 창출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ODI는 총 634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43.7%인 277억 달러가 미국에 이뤄졌습니다.

이어 케이만군도가 9.7%(62억 달러)로 2위를 차지했고, 룩셈부르크(7.8%·50억 달러), 캐나다(5.7%·36억 달러), 베트남(4.2%·26억 달러), 인도네시아(3.3%·21억 달러), 중국(2.9%·19억 달러) 순이었습니다.

미국으로 ODI가 늘어난 건 미국이 반도체법(Chips Act)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보조금 등으로 제조시설을 적극적으로 유치한 결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에 반도체 생산 공장을,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에 배터리 생산 공장을 짓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바 있습니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해 한국의 ODI 중 메모리 반도체와 축전지의 대미 비중은 각각 99.2%, 70.1%로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직접투자(FDI) 누적 유입 중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이전까지 1% 안팎이었는데, 2020년과 2022년 사이 2.3%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은 한국에도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의 대미 ODI가 10% 늘어나면 대미 수출은 0.202%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출 대체효과보다 수출 유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미국에 진출한 한국계 기업이 원부자재, 중간재를 한국에서 많이 조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실제 2022년 기준 미국 내 한국 현지법인의 한국 조달 비중은 61.4%로 집계됐습니다.

도원빈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한국의 대미 투자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중시하는 첨단산업 육성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강조하는 제조업 강화와 무역 불균형 해소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다"면서 "이를 미국의 통상 압력 완화의 지렛대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무역협회 제공]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도윤 기자 (dobby@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