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 깜빡, 진료 못받나요” 경기·인천 곳곳 혼선 [현장, 그곳&]

김샛별 기자 2024. 5. 20. 19:4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시민들 몰라 ‘시간 지연’... 일부 병원서 확인 없이 접수도
환자 가족 약 대리 처방도 불가... 본인 확인 안되면 ‘진료비 폭탄’
복지부 “건강보험의 공정성 제고”
‘건강보험 본인 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된 20일 수원특례시 팔달구 성빈센트병원 내 전광판에 신분증 지참 안내문이 나오고 있다. 조주현기자

 

“신분증을 집에 두고 나왔는데 어떡하죠?”

20일 오전 9시30분께 화성시의 한 종합병원. 1층 외래 접수 창구와 벽면에 ‘진료 전 신분증을 꼭 제시해달라’는 안내문이 붙어있었다. 신분증을 가져오지 않은 환자와 보호자들은 당황한 기색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았다. 허겁지겁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은 주선영씨(가명·50대)는 “3개월 전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 진료 기록이 남아 있어 신분증이 필요한지 몰랐다”며 “진료 시간이 늦어져서 큰 일”이라고 울상을 지었다.

같은 날 수원특례시 장안구의 한 병원에서도 신분증을 가져오지 않은 시민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었다. 한 할아버지가 접수 창구에서 신분증이 없다고 하자 병원 직원은 신분증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도 임의로 진료를 접수, 건강보험을 적용해주기도 했다.

인천의 한 대학병원도 마찬가지. 접수 창구에는 신분증이 필요하다고 안내하는 직원과 신분증을 찾기 위해 가방을 뒤적거리는 환자들로 혼잡했다. 허리가 아픈 아내를 대신해 혈압 약을 처방 받으러 왔다는 김순창씨(가명·70대)는 “신분증이 필요한지 몰랐다”며 “아내가 움직일 수 없어서 대신 처방전을 받으려고 가족증명서까지 발급받아 왔는데 신분증까지 보여 달라고 하니 번거롭다”고 토로했다.

전국 의료기관에서 진료 시 신분증 지참이 의무화 된 첫날 경인지역 내 병·의원 곳곳에서 혼선이 잇따랐다. 대체 신분증을 발급받음에 따라 시간이 지연되는가 하면 일부 병원에서는 신분증 확인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접수가 진행되기도 했다.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이날부터 전국 병·의원에서는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 등을 활용해 신분 확인을 해야 한다.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로 사진이 붙어있어야 하며, 주민등록번호 또는 외국인등록번호가 포함돼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 또는 서류여야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시민들이 신분증 없이 병원을 찾았다가 혼란을 겪고 있었다. 또한 병원마다 신분증을 확인하는 방법도 제각각인 모습이었다.

도내 한 병원 관계자는 “신분증을 안 갖고 왔다고 해서 접수가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을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안 돼 진료비를 환자가 전액 지불해야 한다”고 전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신분증 미지참 시 모바일 신분증 등으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계도기간은 두지 않는다”며 “건강보험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인 만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김샛별 기자 imfine@kyeonggi.com
박소민 기자 som@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