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 영화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2024. 5. 20. 17: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년 만에 돌아온 유인원들완성된 유인원들의 세계'혹성탈출' 트릴로지 잇는 새로운 이야기영화는 진화한 유인원과 퇴화된 인간들이 살아가는 오아시스에서 인간들을 지배하려는 유인원 리더 '프록시무스' 군단에 맞서, 한 인간 소녀와 함께 자유를 찾으러 떠나는 유인원 '노아'의 여정을 그렸다.

앤디 서키스가 열연한 '시저'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인간과 유인원의 대립, 진화한 유인원과 퇴화되어 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그리며 걸작으로 평가받은 3부작, 그리고 그로부터 7년 뒤 개봉한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는 인간과 유인원 사이가 아닌, '프록시무스'와 양 유인원 부족들 사이의 대결로 채워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년 만에 돌아온 유인원들
완성된 유인원들의 세계
‘혹성탈출’ 트릴로지 잇는 새로운 이야기

영화는 진화한 유인원과 퇴화된 인간들이 살아가는 오아시스에서 인간들을 지배하려는 유인원 리더 ‘프록시무스’ 군단에 맞서, 한 인간 소녀와 함께 자유를 찾으러 떠나는 유인원 ‘노아’의 여정을 그렸다. 극장에서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수작이다.
※ 본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될 만한 줄거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진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시저’의 죽음 이후 약 300년이 지난 시대. 대자연이 지구를 뒤덮은 세상, 진화한 유인원과 퇴화된 인간들이 살아가는 땅에 다양한 유인원 부족이 등장한다. ‘프록시무스’는 완전한 군림을 위해 인간들을 사냥하며 자신의 제국을 건설 중인 유인원 리더다. 또 다른 유인원 ‘노아’는 ‘독수리 부족’의 일원으로 자신의 터전 외의 세상은 모르는 어린 유인원이다. 숨겨진 과거의 이야기와, 시저의 가르침을 듣게 된 노아는 의문의 한 인간 소녀 ‘노바/메이’와 함께 자유를 향한 여정을 시작한다.
1968년 오리지널 ‘혹성탈출’에 나왔던 유인원들의 세계가 어떻게 완성됐는지를 보여주는 리부트 시리즈로, 웨스 볼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2011년 루퍼트 와이어트 감독의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을 통해 시작된 혹성탈출 트릴로지는, 2014년 맷 리브스 감독의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과 2017년 ‘혹성탈출: 종의 전쟁’이 나란히 흥행에 성공한다. 앤디 서키스가 열연한 ‘시저’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인간과 유인원의 대립, 진화한 유인원과 퇴화되어 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그리며 걸작으로 평가받은 3부작, 그리고 그로부터 7년 뒤 개봉한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는 인간과 유인원 사이가 아닌, ‘프록시무스’와 양 유인원 부족들 사이의 대결로 채워진다.
(사진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아바타: 물의 길’의 각본가, ‘반지의 제왕’부터 ‘혹성탈출’ 시리즈, ‘엑스맨’, ‘아바타: 물의 길’의 시각 효과 팀인 웨타(Wētā FX)는 디지털이 특수효과를 맡았다. 특히 ‘모션 캡처’ 기술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퍼포먼스 캡처’는 물의 접촉에 따른 유인원 털의 변화까지 입체적으로 구현해냈다.
영화 ‘아이 씨 유’, ‘그것’에서 인상 깊은 연기력으로 국내외 팬들에게 얼굴을 알렸던 배우 오웬 티그가 ‘시저’의 가르침에 따라 인간과 공존을 꿈꾸는 유인원 ‘노아’ 역을 맡았고, 인간 소녀 ‘노바/메이’는 넷플릭스 ‘위쳐’ 시리즈로 국내외에서 큰 사랑을 받았던 배우 프레이아 앨런이 맡아 첫 장편 데뷔했다. 유인원들에게 사냥당하는 원시인들, 원작에 등장했던 BGM, 고대 문자가 쓰인 의류 등 오리지널 혹성탈출에 바치는 오마주가 곳곳에 등장한다.
영화는 ‘혹성탈출’의 4탄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와 연출로 세계관과 내용에 변화를 주었음을 보여준다. 러닝타임 145분.
[최재민 사진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31호 기사입니다]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