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귀해진다…2년 뒤 ‘33평 초과’ 입주물량 반토막

배윤경 매경닷컴 기자(bykj@mk.co.kr) 2024. 5. 20. 17: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 아파트 전용면적 85㎡ 초과 공급이 60㎡ 이하 보다 더 가파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의 2024~2026년 입주 물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 기준 내년 60㎡ 이하 입주 물량은 올해보다 39.5%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전용면적 85㎡ 초과 타입 입주 비율이 큰 폭으로 줄어든다.

60㎡ 이하 보다 감소 폭이 더 가파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료 출처 = 부동산R114]
새 아파트 전용면적 85㎡ 초과 공급이 60㎡ 이하 보다 더 가파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의 2024~2026년 입주 물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 기준 내년 60㎡ 이하 입주 물량은 올해보다 39.5% 줄어들 전망이다.

오는 2026년엔 전년 대비 29.4% 감소한다.

특히, 전용면적 85㎡ 초과 타입 입주 비율이 큰 폭으로 줄어든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13.8% 감소하지만, 2026년에는 전년 보다 40.6%로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 이하 보다 감소 폭이 더 가파르다.

중대형 타입 공급 하락폭은 수도권이 더 컸다. 내년에는 올해 대비 29.4% 줄고, 2026년엔 56.0% 하락한다.

지방의 경우 내년엔 1.28% 감소하지만, 2026년엔 31.7% 줄어들 전망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중대형 아파트의 입주 물량이 줄어들고 있다”면서도 “넓은 평면의 아파트는 공간에서 오는 여유, 프라이버시 보장, 수납 공간 확충 등의 이유로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선호도가 여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소득 수준이 늘어나면 1인당 주거 면적은 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1인당 주거면적은 꾸준히 늘고 있다. 국토부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인당 주거면적은 34.8㎡로, 통계가 첫 공개된 2006년 26.2㎡보다 1.3배 더 넓어졌다.

중대형이 귀해지는 탓에 더 큰 가격 상승폭을 보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규모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에 따르면 올 5월 1주차 85㎡ 초과~102㎡ 이하 타입은 전주 대비 0.02% 올라 올 3월 이후 가장 먼저 상승 반전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분양을 앞둔 곳 중 중대형 타입 중심으로 선보인 단지도 있다. 전남 순천만국가정원 인근 ‘순천그랜드파크자이’는 다음달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전용면적 84~206㎡, 총 997가구다.

부산에는 ‘블랑 써밋 74’가 다음달 분양시장에 나온다. 전용 94~247㎡ 아파트 998가구다.

금호건설은 충북 청주 테크노폴리스에서 ‘청주테크노폴리스 아테라’ 전용 84~138㎡, 1450가구를 다음달 분양할 예정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전북 전주 에코시티에 전용면적 84~161㎡, 총 576가구 규모의 ‘에코시티 더샵 4차’를 이달 선보인다.

수도권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이 경기 광주 곤지암역 인근에서 ‘힐스테이트’ 아파트를 하반기 시장에 낼 예정이다. 84·139㎡ 타입으로 구성한다.

오는 7월 의정부 나리벡시티에서는 롯데건설이 전용면적 84~155㎡ 671가구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