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대통령실 '컨트롤타워'로 경제안보 큰 그림 그려야"

김정수 2024. 5. 20. 14: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0일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경제안보 통합 전략의 큰 그림을 그려나가는 시스템 정비가 선결 과제"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외교부 경제안보외교센터와 한국국제정치학회가 공동 개최한 '제5차 경제안보 외교포럼' 환영사에서 "안보적 시각에서 다뤄야 할 경제 문제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보적 시각에서 다뤄야 할 경제 문제 늘어나"
"경제 따로 안보 따로 작동 어려워...긴밀히 연결"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0일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로 경제안보 통합 전략의 큰 그림을 그려나가는 시스템 정비가 선결 과제라고 밝혔다. /외교부 제공

[더팩트ㅣ김정수 기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0일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경제안보 통합 전략의 큰 그림을 그려나가는 시스템 정비가 선결 과제"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외교부 경제안보외교센터와 한국국제정치학회가 공동 개최한 '제5차 경제안보 외교포럼' 환영사에서 "안보적 시각에서 다뤄야 할 경제 문제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장관은 "경제 따로 안보 따로 작동하기 어렵게 긴밀히 연결돼 있다"며 "과거와 달리 미국이 경제 분야에서 우리에게 거리낌 없이 안보 청구서를 내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경제 논리에 의해 결정되던 과거와 달리 정치안보적 고려가 기업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됐다"면서 "70여개국에서 선거가 열리는 소위 '슈퍼 선거의 해'인 올해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장관은 "새로운 환경이 우리에게 큰 도전을 안겨주지만 한편으로는 기회 요인도 적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산업과 같이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에서 혁신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취약 분야에서는 기술력을 높이고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해 통합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의 전략적 자율성 제고 효과뿐 아니라 정책 역량과 실천 의지를 분명히 함으로써 외교적 갈등 현안에 대한 협상 레버리지를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제도의 투명성과 정책 예측 가능성이 높을수록 신뢰와 설득의 힘이 커진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경제안보 시대에는 단기적 비용을 얼마나 감내할 수 있느냐가 생존 전략 승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포럼을 공동 주최한 마상윤 한국국제정치학회의 학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경제안보라는 개념이 부상함에 따라 기업들이 사업적 관점만으로는 대외 변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경제안보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바람직한 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포럼에서는 이승주 중앙대 교수가 경제안보 외교와 기업의 관계에 대해, 박승빈 아주대 교수가 주요국의 경제안보 대응에 대해 발표했고, 정부가 경제안보 현장의 실질적 행위자인 기업과 쌍방향적 관계로서 협력을 구축해 나가야 함을 강조했다.

이어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주재로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정부와 기업의 협력 방안'에 대한 라운드테이블 토론도 진행됐다. 토론에는 배영자 건국대 교수, 윤강현 법무법인 세종 고문, 윤창렬 LG글로벌전략개발원장, 이성우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통상본부장, 정철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연구원장,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패널들은 급변하는 대외환경이 우리 민생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꿔가기 위한 효과적인 민관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아울러 정부, 민간 간 필요한 경제안보 정보를 적극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교한 정책 결정과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js881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