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책] 이 사람을 믿어도 될까?...'호구의 심리학'

book 2024. 5. 20. 13: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호구의 심리학' 은 인간이 느끼는 핵심적 불안인 '호구 공포증', 즉 호구 잡힐까 걱정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개인의 삶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법학, 철학 등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탐구한 책이다.

이 책은 호구의 역학을 알아보는 능력을 통해 우리가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위험은 무엇인지, 의미 있는 인간관계는 무엇인지, 내 것을 남과 나눌 때는 언제이고 호락호락하게 당하지 않고 이의를 제기해야 할 때는 언제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호구의 심리학 / 저자 테스 윌킨슨-라이언|김하린 역 / 한문화

'호구 잡힐까 두려워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는 동안,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무엇일까?'

'호구의 심리학' 은 인간이 느끼는 핵심적 불안인 '호구 공포증', 즉 호구 잡힐까 걱정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개인의 삶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법학, 철학 등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탐구한 책이다. 이 책은 호구의 역학을 알아보는 능력을 통해 우리가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위험은 무엇인지, 의미 있는 인간관계는 무엇인지, 내 것을 남과 나눌 때는 언제이고 호락호락하게 당하지 않고 이의를 제기해야 할 때는 언제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더 이상 호구 공포증에 휘둘리지 않고 우리가 하고 싶은 일을 기꺼이 하며, 가치관에 따라 주도적으로 사는 길을 제시한다.

▲ 마법 지팡이 너머의 세계 / 저자 톰 펠턴 / 심연희 역 / 문학수첩

"나를 이 자리에 있게 해준 머글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

영화 '해리 포터'에서 '드레이코 말포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맡으며 세상의 주목을 받았던 배우 톰 펠턴의 에세이 '마법 지팡이 너머의 세계'(원제: BEYOND THE WAND: The Magic and Mayhem of Growing Up a Wizard)가 문학수첩에서 출간되었다. 어느새 서른을 훌쩍 넘긴 나이가 된 톰은 이 책에서 마법 세계의 일부로 살았던 삶과 그 너머의 인생 이야기를 특유의 유머 감각으로 허심탄회하게 풀어놓는다. 지금의 배우 톰 펠턴이 있게 한 가족들, 노마법사다운 지혜를 선사한 선배 배우들, 오랜 시간 영화를 찍으며 다져온 우정과 그 긴 시리즈가 끝난 뒤에 겪었던 아픔까지 이 책에 모두 담겨있다

▲ 애플 엔비디아 쇼크웨이브 / 저자 백종민 / 세종서적

'AI 반도체 전쟁의 최후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챗GPT의 등장으로 AI 시대가 대두되면서 AI 반도체 시장을 선점하려는 빅테크 기업들 간의 전쟁 역시 과열되고 있다. 저자는 AI 반도체 전쟁이 격화되는 이 시점에서 애플과 엔비디아에 주목한다. '애플 엔비디아 쇼크웨이브'는 애플과 엔비디아가 반도체 시장에 뛰어들며 벌어진 격변의 현장과 새로운 반도체 질서의 형성을 다룬다. 이들 기업과 엮이며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TSMC, 인텔, ARM, 퀄컴, 삼성, 구글, 테슬라 등 반도체 10대 기업도 전격 해부했다. 오랜 시간 테크 분야와 미국 현지를 취재하고 분석해 저술상을 수상한 백종민 기자가 생생한 취재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 어떻게 고양이를 끌어안고 통닭을 먹을 수 있을까 / 저자 로아네 판 포르스트 / 박소현 역 / 프런티어

'미래는 비거니즘을 선택했다. 당신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미래인류학자인 저자는 다양한 현장에서 나타나는 비건 트렌드를 분석하는 동시에, 인류가 훗날 현재의 육식 문화를 어떻게 평가하게 될지 미래의 관점에서 생생하게 그려낸다. 한편 이토록 자명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가 식탁에서 고기를 포기하지 못하는가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매일 밤 고양이를 끌어안고 잠을 청하면서도 저녁 식탁에 오른 통닭구이는 맛있게 먹었던 자신이야말로, 어떤 동물은 사랑하고 어떤 동물은 학대하는 '육식주의'의 모순에 빠져 있었다고 고백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비거니즘을 선택할 것을 권한다.

YTN book (book@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