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누벨칼레도니 통제·장악 작전중…소요사태 일주일

이치동 2024. 5. 20. 13: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남태평양의 프랑스령 섬나라 누벨칼레도니에선 원주민들이 선거제도 변경에 항의하면서 소요 사태가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는데요.

프랑스가 공권력을 투입해 도로 등 주요 시설 통제권 재장악에 나섰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중무장한 프랑스 경찰이 호주대륙 오른편 남태평양에 있는 섬 누벨칼레도니에서 작전 중입니다.

불도저와 포클레인을 동원해 수도 누메아와 라 톤투타 국제공항 간 도로를 막은 차량을 치웁니다.

선거제도를 바꾸려는 프랑스의 계획에 반대하는 원주민 카나크족이 주요 도로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주유소 습격 등 폭력 시위를 일으킨 지 일주일만입니다.

이번 사태로 경찰 두 명 포함 최소 여섯 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쳤습니다.

<제랄드 다르마냉 / 프랑스 내무부 장관> "당국은 생명을 구하고, 가장 중요한 기반 시설인 공항, 항구, 전기, 병원, 프랑스 TV 사무실을 보호하기 위해 막대한 자원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현지 민주주의 번성을 보호하려는 겁니다."

영어 이름은 뉴칼레도니아인 이 섬의 인구 27만 중 원주민 카나크족이 40퍼센트 가까이 차지합니다.

현지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도 지방선거 투표권을 주는 방안이 독립을 위한 캠페인 등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할 거로 보고 있습니다.

<도미니크 포치 / 칼레도니아 독립 연합당 사무총장> "억압이 모든 걸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대화를 통해 일상으로 돌아가는 게 좋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일주일 새 세 번째 긴급 안보 장관 회의를 소집했고, 원주민 측과 접촉에도 나섰습니다.

7월 말에 개막하는 파리 올림픽 기간에 우크라이나와 가자 지구에서 교전 중단을 제안했지만, 정작 자국령에서 벌어진 유혈 사태가 발등에 떨어진 불인 셈입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lcd@yna.co.kr)

#뉴칼레도니아 #프랑스 #폭동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