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많은 우린 자주 잊는데" 감기환자 몰려 '신분증 확인' 진료직전에

이승현 기자 2024. 5. 20. 12: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접수 대기줄이 너무 기니까 신분증은 진료실 들어가기 직전에 확인할게요."

병원과 약국에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는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제도가 시행된 20일 오전 광주 동구의 한 이비인후과.

이날부터 병·의원, 약국에서 건강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 여부 확인을 위해 신분증 확인을 해야 하지만, 이 병원에선 기존의 방식처럼 이름과 생년월일 확인 절차만 거친 채 진료접수가 이뤄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병·의원 등서 건강보험 혜택 받으려면 신분증 필수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된 20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4.5.2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광주=뉴스1) 이승현 기자 = "접수 대기줄이 너무 기니까 신분증은 진료실 들어가기 직전에 확인할게요."

병원과 약국에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는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제도가 시행된 20일 오전 광주 동구의 한 이비인후과.

이른 시간이지만 환자 대기석은 앉을 자리 없이 빼곡하게 차 있고 입구에는 마스크를 쓴 환자들이 연이어 밀려왔다.

'접수와 진료까지 얼마나 걸리냐'는 한 방문객의 질문에 병원 관계자는 큰 소리로 "현재 30명이 진료 대기 중이다"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환자들에게 연신 안내했다. 병원 밖까지 늘어선 대기줄에 계속 울리는 전화벨 소리까지 이어지자 병원 관계자들은 한 손엔 전화기를, 한 손엔 볼펜을 들고 바쁘게 움직였다.

이날부터 병·의원, 약국에서 건강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 여부 확인을 위해 신분증 확인을 해야 하지만, 이 병원에선 기존의 방식처럼 이름과 생년월일 확인 절차만 거친 채 진료접수가 이뤄졌다. 단 신분증 검사는 진료실에 들어가기 직전 이름이 호명될 때 진행했다.

낮과 밤의 기온 차가 10도 이상 벌어지면서 감기환자가 급증한 데다 환자들이 많이 찾는 월요일까지 맞물리면서 접수대기가 붐볐고, 원무과 직원의 휴가까지 겹치면서 혼선이 생긴 탓이다.

병원 관계자는 "월요일이라 환자들이 몰렸는데 인력까지 부족해 기존처럼 신청을 한 뒤 진료실에 들어가기 전 신분증을 제시해달라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된 20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4.5.2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제도는 건강보험 무자격자가 다른 사람의 명의를 도용해 건강보험 급여를 받는 등 악용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신분증 확인을 거쳐 진료를 받은 시민들은 제도 취지에 대부분 공감했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최현영 씨(47·여)는 "본인임을 확인하고 진료를 받으면 그동안 있어왔던 부정수급을 수월하게 막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례 씨(66·여)는 "아무래도 병원을 자주 찾는 건 젊은 층보다 우리다"며 "신분증이나 휴대폰을 깜빡 두고 와도 진료를 받을 순 있다지만, 모든 금액을 다 내야 하는 것도 부담이고 다시 돌려받는 절차 또한 나이가 있는 우리에겐 어려울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이 씨 말처럼 신분증이 없는 경우에도 진료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엔 공단부담금과 본인부담금을 포함한 의료비를 모두 부담해야 한다. 이후 진료 14일 이내에 신분증과 영수증을 지참해 병원을 방문하면 차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다만 처방전에 따라 약국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와 응급환자, 거동 불편자 등 본인확인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예외 사례로 인정된다.

pepp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