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부채 2천734조, 연 8%씩 급증…"부동산 쏠림 막아야"

신호경 2024. 5. 20. 12: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우리나라 기업들의 부채가 급증한 것은 부동산업 투자, 개인사업자 금융지원, 영업·투자자금 수요 등 때문으로 분석됐다.

특히 생산성이 높지 않은 부동산 부문으로 기업 대출이 몰리는 현상은 국가 경제 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 앞으로 통화정책 전환(긴축→완화) 과정에서 재연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6년간 1천36조↑…부동산 활황·자영업 지원·투자 등 때문
한은 "건전성 대체로 안정적이나 한계기업 부채 비중 커져"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최근 우리나라 기업들의 부채가 급증한 것은 부동산업 투자, 개인사업자 금융지원, 영업·투자자금 수요 등 때문으로 분석됐다.

기업부채 2천734조, 연 8%씩 급증…"부동산 쏠림 막아야"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2024.3.18 kjhpress@yna.co.kr

특히 생산성이 높지 않은 부동산 부문으로 기업 대출이 몰리는 현상은 국가 경제 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 앞으로 통화정책 전환(긴축→완화) 과정에서 재연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한국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 추이 등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은행이 20일 공개한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부채는 2023년 말 2천734조원으로 2018년부터 6년간 1천36조원이나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8.3%)은 연평균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3.4%)의 두 배를 훌쩍 넘었고, 그 결과 명목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2017년 말 92.5%에서 2023년 말 122.3%로 치솟았다.

한은은 기업부채 증가 원인을 기업 부문(종류)별로 나눠 분석했는데, 우선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 경기 활황과 함께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부동산업에 대한 대출이 급증했다.

금융권 부동산업 대출 추이 등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두 번째로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한 개인사업자 금융지원 조치도 기업부채 증가에 일조했다.

실제로 2017∼2019년 연평균 24조원 수준이던 개입사업자 대출 증가 폭은 코로나19 피해기업 보증 지원·대출 상환 유예 등의 영향으로 2020∼2022년 연평균 54조원으로 뛰었다.

부동산업과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일반기업의 경우 2020년 이후 대기업을 중심으로 업황 부진에 따라 영업자금 수요와 시설투자 자금 수요가 모두 늘면서 부채가 증가했다.

한계기업 차입금 비중 추이 등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하지만 한은은 이들 국내 일반기업이 빚을 내는 동시에 유상증자·기업공개 등을 통해 자본 확충에도 나선 결과 건전성 측면에서 대체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국내 기업의 부채비율(2022년 기준 122%)은 독일(200%), 일본(145%), 미국(121%) 등과 비교하면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일반기업의 경우도 한계기업(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의 부채 비중이 커지는 등 부채의 질이 떨어지는 사실은 위험 요소로 꼽혔다. 전체 일반기업 차입 부채 대비 한계기업 부채의 비율은 2021년 말 14.7%에서 2022년 말 17.1%로 높아졌다.

류창훈 한은 시장총괄팀 과장은 "기업 신용(빚)이 국가 경제 관점에서 생산적 부문으로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런 점에서 부실 우려가 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에 대한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통해 부동산 부문의 점진적 디레버리징(차입 상환·축소)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특히 향후 국내외 통화정책 기조 전환 과정에서 금융기관의 신용공급이 부동산 부문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래픽] 기업부채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shk999@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