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종사자, 10년 새 2배…신산업 중 가장 높은 증가율 보여”

김경학 기자 2024. 5. 20. 11: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노동자가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제조설비를 가동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제공

2차전지 산업 종사자 수가 앞으로 10년간 약 2배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매년 7.0%가량 늘어나는 수준으로, 이는 최근 5년간 조사한 신산업 중 가장 큰 규모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신산업 산업기술인력 전망을 조사한 결과, 2032년 2차전지 및 관련 소재·부품·장비를 개발·제조하거나 재사용·재활용하는 산업에 필요한 인원은 11만791명이라고 20일 밝혔다. 이는 2022년 말 기준 2차전지 산업 종사자(5만6340명)의 약 2배에 달하는 규모다.

2차전지 분야에서만 매년 7.0% 늘어나는 셈이다. 이는 최근 5년간 조사한 14개 유망 신산업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유망 신산업 분야 종사자의 연평균 증가율 전망을 보면 확장현실(XR) 6.9%, 항공·드론 6.7%, 지능형 로봇 5.9%, 미래형 자동차 5.8% 등의 순이었다.

학력별로 보면 모든 학력에서 고른 증가세를 보였다. 2032년까지 고졸 1만1000명, 전문대졸 1만4000명, 대졸 2만1000명, 석·박사 8000명이 순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직무별로 보면 설계·디자인 분야가 2022년(2439명)보다 3870명 늘어난 6309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2차전지 산업에서 가장 인력이 부족한 직무는 시험평가·검증 분야였다. 2022년 기준 시험평가·검증 분야 종사자는 695명에 불과했다.

신금속·차세대세라믹·첨단화학·하이테크섬유 등 첨단신소재 산업에 종사하는 인원도 3년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첨단신소재 종사자는 2022년 기준 10만2806명으로, 2019년(7만4287명)보다 38.4% 증가했다.

세부 산업별로 보면, 차세대세라믹과 첨단화학이 크게 늘었다. 차세대세라믹 종사자는 1만5295명으로 2019년(7698명)보다 98.7% 늘었다. 첨단화학 종사자는 4만1468명으로, 2019년(2만5423명)보다 63.1% 증가했다.

2032년까지 첨단신소재 산업 종사자 규모는 13만8870명으로, 연평균 3.1%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세부 산업 중에서는 신금속소재 분야 종사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3.4%로 가장 높았다.

유망 신산업 산업기술인력 전망 조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산업연구원·한국직업능력연구원과 공동으로 진행한다. ‘소재’와 사물인터넷(IoT)가전·디지털헬스케어 등 ‘시스템’, 지능형로봇·차세대디스플레이 등 ‘부품·장비’ 3개 분야로 나눠 3년마다 조사를 진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 관련 관리자, 임원 등으로 근무하는 인원을 가리킨다.

김경학 기자 gomgo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