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통 구조조정 기사 밖에 없어"…대졸 '최악 구직난'에 한탄

김인엽 2024. 5. 20. 11: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대학 졸업자들이 9년만에 최악의 구직난을 겪고 있다.

지난달 미국 비농업고용일자리는 17만5000개 늘어나 시장 예상치(23만8000개)와 전월 상승치(30만3000개)를 모두 밑돌았다.

조셉 메르카단테 뉴욕대학교 바서만 경력개발센터 수석부소장은 "권력이 확실히 고용주 쪽으로 더 많이 이동해 고용주 우세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9년 만에 최대 대졸자 구직난
올해 고용주 채용 전망 전년대비 5.8% 감소
IT(-15.9%) 재무·보험(-14.5%) 등 일자리 급감
정부 고용통계도 둔화 "고용주 우세 시장 왔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인권 운동의 아이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가 다녔던 모어하우스대학의 졸업자들이 19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애틀랜타 캠퍼스에서 열린 졸업식에 참석하고 있다. AFP

미국 대학 졸업자들이 9년만에 최악의 구직난을 겪고 있다. 고학력 취업자들이 선호하는 테크·금융사들이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서면서 일자리 찾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전미대학고용주협회(NACE)에 따르면 미국 고용주들의 올해 채용 전망치는 전년대비 5.8% 감소했다. 전년 3.9%, 2022년 31.6%에 비해 줄었을 뿐만 아니라 2015년 기록 작성 이래 최저치다.

이같은 구직난은 대졸자들이 선호하는 정보기술(IT), 금융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돌입한 여파가 크다. NACE 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전년보다 가장 채용을 많이 줄이는 업계는 기타서비스(-45.5%), IT(-15.9%), 재무·보험·부동산(-14.5%), 화학제조(-12.9%), 컴퓨터·전자제조(-11.9%) 순이다. 반면 기타제조업(20.3%), 식료품제조(7.9%) 기타전문서비스(5.8%) 등은 올해 채용을 더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구조조정 추적업체인 레이오프스(Layoffs.fyi)에 따르면 지난해 1191개 테크기업은 26만3180만명을 감원했다. 2022년(1064개기업·16만5269명)에 비해 59% 늘었다. 올해 현재까지는 293개 기업이 8만4060명을 해고했다. 미국 취업사이트 핸드쉐이크의 교육전략가 크리스틴 쿠르즈버가라는 "지난 2년 간 학생들이 고용시장 뉴스에서 본 것은 수천명 해고 소식 뿐이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컨설팅·회계법인 등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맥킨지앤컴퍼니, KPMG, 베인앤컴퍼니 등이 저성과자를 퇴출하고 있으며 EY는 지난해 졸업 예정자의 채용 시작일을 올해 7~8월로 1년 가까이 미뤘다.

최근 정부 통계에서도 이러한 고용시장 둔화세가 나타난다. 지난달 미국 비농업고용일자리는 17만5000개 늘어나 시장 예상치(23만8000개)와 전월 상승치(30만3000개)를 모두 밑돌았다. 조셉 메르카단테 뉴욕대학교 바서만 경력개발센터 수석부소장은 "권력이 확실히 고용주 쪽으로 더 많이 이동해 고용주 우세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