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 학생 임술증처 유인 밀양박씨 지려[함양 상림공원에 숨은 보물②]

서희원 기자 2024. 5. 20. 10: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이 백성을 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조성한 경남 함양 상림공원은 제154호 천연기념물이다.

경남 문화재 자료 제240호로 지난 1997년 1월30일 지정된 열녀 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 지려는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상림공원 내 역사인물공원에 함양 열녀 밀양박씨 정려비가 세워져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문학적 의미에서 크게 평가 받아
한문소설화한 정려비
[함양=뉴시스] 서희원 기자= 천연기념물 제154호 상림 역사인물공원에 열녀 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 (경남 문화재 자료 제240호) 정려비가 세워져 있다. 2024. 05. 20. shw1881@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고운 최치원 선생이 백성을 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조성한 경남 함양 상림공원은 제154호 천연기념물이다. 당시 위천천이 함양읍의 중앙을 흐르고 있어 홍수가 빈번했다. 생태 학술적 가치와 역사 문화적 가치가 높은 함양 상림 공원의 매력은 무엇일까. 뉴시스는 함양 상림 공원 내 천연기념물과 문화재 등을 7회에 걸쳐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다. [편집자주]

[함양=뉴시스] 서희원 기자 = <연재순서>

① 함양 상림 공원 (천연기념물 154호)
② 열녀 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 지려 (경남 문화재 자료 제240호)
③ 문창후 선생 신도비 (경남 문화재 자료 제75호)
④ 이은리 석불 (경남 유형문화재 제32호)
⑤ 함화루 (경남 유형문화재 제258호)
⑥ 함양 척화비 (경남 문화재 자료 제264호)
⑦ 그외 (사운정, 역사인물공원, 사랑나무, 물레방아, 파평윤씨 화수정)

[함양=뉴시스] 서희원 기자= 열녀 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 지려 (경남 문화재 자료 제240호) 2024. 05. 20. shw1881@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경남 문화재 자료 제240호로 지난 1997년 1월30일 지정된 열녀 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 지려는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상림공원 내 역사인물공원에 함양 열녀 밀양박씨 정려비가 세워져 있다.

남편 임술증의 3년상을 마치고 자결한 밀양박씨의 열행을 기려 1797년 정려비가 세워지게 됐으며, 비문은 정덕제가 지었다. 비의 가운데에는 '열녀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지려'라 새겨져 있다.

비석을 중심에 두고 네 개의 돌기둥이 세워져 있으며, 그 위로 기와 모양의 돌이 얹혀 비각을 이루고 있다. 처음에는 함양향교 입구에 세워졌으나 1932년 도로 공사로 인해 함양읍 백연리에 옮겨졌다가 2009년 함양읍 운림리 상림공원에 역사인물공원이 조성되면서 다시 옮겨졌다.

연암 박지원(1737∼1805)이 안의 현감으로 있을 때, 중인 신분에도 열부로서 인근 고을까지 널리 알려진 임술증의 처 밀양 박씨에 대한 내용을 한문소설화한 정려비다.

이것은 연암의 12편 한문소설 중 실화를 소설로 쓴 것 중에 남겨진 유일한 작품이다. 이 외에도 박씨에 대한 소설로 윤광석·이면제·이학전·응윤 스님의 '박열부전'이 있다.

[함양=뉴시스] 서희원 기자= 열녀 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 지려 (경남 문화재 자료 제240호) 2024. 05. 20. shw1881@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는 동시대의 사실적 내용을 유학 측면과 행정관리 측면, 불교에서 바라본 유학적이고 실존적인 시대 상황을 평하는 글들로 분석되고 있어, 국문학적 의미에서 크게 평가 받고 있다.

함양 열녀 밀양박씨 정려비가 함양 상림공원 숲속의 문화재에 위치하면서 함양군민과 관광객으로부터 더욱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으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블로그 등을 통해 밀양박씨의 열행이 널리 기려지고 있다.

정려비란 충신·효자·열녀 등의 언행과 정신을 기리기 위해 그들이 살던 마을 입구에 세우는 비를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열녀 학생 임술증 처 유인 밀양박씨 지려 외에도 임실군에는 효충서원 안에 김복규, 김기종 부자의 효행을 기리는 정려비가 있고 구미시 고아읍에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김종무(15448~1592)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비가 있다.

[함양=뉴시스] 서희원 기자= 천연기념물 제154호 상림 역사인물공원 진입로 안내 비석 2024. 05. 20. shw1881@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shw188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