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부채 4년 새 11조 달러↑…원화 '14,000,000,000,000,000원'

유영규 기자 2024. 5. 20. 08: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CNBC방송은 19일(현지시간) 현재 연방정부 부채는 34조5천억 달러(4경 6천764조 원 상당) 안팎으로, 2020년 3월보다 4년 새 약 11조 달러(1경 4천조 원 상당) 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실제 헤지펀드의 대부로 불리는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 설립자 레이 달리오와, '월가의 황제'로 알려진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미국 부채 증가 상황과 그 여파를 한목소리로 경고한 바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들

좀체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 미국 정부부채 증가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CNBC방송은 19일(현지시간) 현재 연방정부 부채는 34조5천억 달러(4경 6천764조 원 상당) 안팎으로, 2020년 3월보다 4년 새 약 11조 달러(1경 4천조 원 상당) 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런 천문학적 수치에 대한 걱정은 지금까지 주로 연방 예산을 모니터하는 의회예산국(CBO)에서 나왔습니다.

야당인 공화당 소속 의원들이 이런 문제를 거론해도 당파적 정치공세 정도로 치부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금융계 소위 '거물급 인사' 사이에서도 근심스러워 하는 메시지가 나오고 있다고 CNBC는 강조했습니다.

실제 헤지펀드의 대부로 불리는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 설립자 레이 달리오와, '월가의 황제'로 알려진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미국 부채 증가 상황과 그 여파를 한목소리로 경고한 바 있습니다.

제도권 금융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네덜란드 외국은행연합회 초청 대담에서 "우리는 대규모 구조적 적자를 경험하고 있으며, 조속히 해결하는 게 나중에 나서는 것보다 훨씬 유리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청중에게 미국 재정 상황에 대한 CBO 보고서를 읽어보라고 권유하며 "선출직 공직자들은 조만간 큰 관심을 가져야 할 사안이라는 점에 대해 우려해야 한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CNBC는 부채 순이자 비용이 이번 회계연도에 벌써 5천160억 달러(700조 원 상당)라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정부의 국방비 지출을 웃돌며, 교육비의 4배에 육박하는 금액이라고 이 방송은 부연했습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울프리서치의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보고서에서 "가장 큰 문제는 미 정부부채가 장기적으로 완전히 지속 불가능한 궤도에 올라섰다는 점"이라며 "정책 입안자와 시장이 향후 예상되는 순이자 비용을 과소평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고 CNBC는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는 11월 예정된 대통령 선거는 재정 상황에 약간의 변화만 가져올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습니다.

골드만삭스는 "대선은 중기 재정 전망을 바꿀 수 있지만, 잠재적으로는 예상보다 (변화 폭이) 작을 수 있다"며 "현재 예산 구조상 가장 큰 문제는 사회보장 및 메디케어(미국의 노인의료보험제도)에 대한 지출인데, 이번 선거와 관련한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두 프로그램에 대한 개혁이 이뤄질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고 내다봤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