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꿀벌 폐사’ 막기 위해 독성 농약 사용 전면 금지

강한들 기자 2024. 5. 20. 07: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완연한 봄 날씨를 보였던 지난해 3월 7일 서울 성동구 하동매실거리에서 꿀벌이 활짝 핀 매화 사이를 비행하며 꿀을 모으고 있다. 성동훈 기자

서울에서 꿀벌에 독성이 강한 농약은 방제용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됐다.

서울시는 공원·가로수 방제 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고 20일 밝혔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은 ‘꿀벌 집단 폐사’의 원인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목돼 왔다. 20일은 유엔이 세계 식량 생산·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2017년 지정한 ‘세계 벌의 날’이다.

서울시는 도심 내 병해충을 방제할 때는 농촌진흥청에 등록된 약제 중 독성 등급이 가장 낮은 제품을 사용하기로 했다.

다만 ‘붉은 소나무’를 만드는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우려 지역에는 산림청에서 선정한 약품을 제한적으로 쓰기로 했다. 길동생태공원과 서울창포원에 더해 남산공원, 서서울호수공원을 무농약·친환경 방제 공원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서울환경연합은 이날 ‘세계 벌의 날’을 맞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서울환경연합은 “꿀벌이 줄어든 이유는 무분별한 개발에 따른 서식지 감소, 기후변화와 집약적 농업으로 먹이원 식물의 감소, 그리고 과도한 살충제 남용 때문”이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꿀벌 죽음에 치명적인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을 주요 원인으로 밝혀 살충제 사용을 규제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이를 부인하며 위험을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단독] “대안 없으니 써라”···산림청, 꿀벌·인체 악영향 가능성 있는 살충제 선정
     https://www.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210140600001


☞ [단독]꿀벌도 죽이는 ‘소나무재선충’ 살충제 내년에도 대량 살포한다
     https://www.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211291556001


☞ [단독]‘친환경방제 약속’ 서울시, 꿀벌 대량실종시킨 농약 계속 살포
     https://www.khan.co.kr/environment/climate/article/202305111609001

강한들 기자 handl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