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유통비 줄이려면? 전산 사용 편의성 높이고 산지 거래교섭력 강화도

김민지 기자 2024. 5. 20.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매제는 거래 과정이 투명한 대신 농산물 반입량과 수요에 따라 가격 등락폭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정부가 내놓은 방안이 전자송품장 사용과 정가·수의 매매 거래 비중 확대다.

이어 "국내 도매시장에서 정가·수의 매매 비중을 늘리려면 개별 출하자들이 거래 교섭력을 키우는 것부터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통비 10% 줄이자] (3) 전자송품장과 정가·수의 매매
송품장 입력 어려워 이용 저조
정가·수의 매매 경매 의존 여전

경매제는 거래 과정이 투명한 대신 농산물 반입량과 수요에 따라 가격 등락폭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정부가 내놓은 방안이 전자송품장 사용과 정가·수의 매매 거래 비중 확대다.

전자송품장, “출하자에게 매력적이지 않아”=농림축산식품부는 전자송품장을 지난해 11월23일 서울 가락시장에서 거래되는 무·배추·깐마늘·양파·배·팽이버섯 등 6개 품목에 대해 시범 적용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10개로 적용 품목을 늘리는 데 이어 2027년엔 가락시장 취급 193개 모든 품목에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전자송품장을 이용하면 상품이 도매시장에 도착하기 전부터 품목과 반입 물량을 정확히 알 수 있어 가격 예측과 수급 조절에 용이하다”고 밝혔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올해 신규 추가할 10개 품목은 사과·양배추·수박·토마토·감귤·멜론·대파·쪽파·총각무·옥수수 등으로 잠정 결정됐고 도입 시기는 이르면 10월로 전망된다.

전자송품장 도입 6개월 성적은 어떨까. 현장 반응은 엇갈린다. 서경남 공사 유통혁신팀장은 “4월 기준 8.6%에 이어 5월초 10%를 넘는 등 사용률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한 도매법인 관계자는 “올초 시장 내 각 법인들이 출하자를 대상으로 전자송품장 사용 교육을 했는데 ‘종이가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바뀐 것 말고 뭐가 다르냐’ ‘일일이 입력하기 번거롭기만 하다’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고 전했다.

현장에선 홍보 강화와 운송기사와의 정보 공유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서 팀장은 “농식품부와 협의해 시스템을 고도화할 예정이고 앱에 운송기사 연결, 물류기기 주문 등 여러 부가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가·수의 매매, “산지 규모화부터 선행돼야”=농식품부는 정가·수의 매매 비중을 2025년까지 2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현장 반응은 싸늘하다. 2023년 가락시장 정가·수의 매매 거래 비중은 물량 기준 2021년 15%에서 2022년 13.4%로 떨어지더니 2023년엔 12.5%에 그쳤다. 전체 공영 도매시장도 2022년 기준 18.9%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경매제 단점, 즉 가격 등락폭이 큰 점을 보완하고자 도입한 정가·수의 매매가 가격을 결정할 때 경매가격에 의존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김병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명예선임연구위원은 “정가·수의 매매가 90%인 일본은 현(국내의 도 개념)단위로 조직된 농협경제연합회(경제련)가 농산물을 수집·가공·출하한다”며 “경제련은 전국 64개 중앙도매시장을 대상으로 가격을 협상하며 체계적으로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도매시장에서 정가·수의 매매 비중을 늘리려면 개별 출하자들이 거래 교섭력을 키우는 것부터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