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기대감’ 키우는 화학株, 주가에도 볕들까

박순엽 2024. 5. 20.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화학 제품 수요가 쪼그라들며 부진한 흐름을 지속했던 화학 기업들의 주가가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이들 화학 기업에 대한 시선이 달라진 것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리라는 기대가 커지면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화학업종 지수, 한 달 새 6.68% 상승
中 경제지표 호조에 화학 제품 수요 기대감↑
이구환신 등 힘입어 화학업종 실적 개선 전망
“화학 종목 저평가…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성”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에 화학 제품 수요가 쪼그라들며 부진한 흐름을 지속했던 화학 기업들의 주가가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업황이 바닥을 찍고 회복을 시도하며 오랜 실적 부진의 터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여기에 중국의 이구환신(소비 촉진 정책)과 미·중의 무역 갈등도 화학 종목에 수익 개선에 긍정적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한 화학 종목으로 구성된 화학업종 지수는 지난 17일 기준 4593.03으로 한 달 전보다 6.6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4.41% 상승한 코스피 지수보다 더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지난 1분기 화학업종 지수가 6.13% 하락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화학 업황이 바닥을 찍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화학 기업들의 주가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내림세를 이어왔다. 글로벌 수요 부진에 중국의 공급 과잉이 겹쳐 업황이 부진한 영향이 지속하면서다. 올해 1분기에만 한화솔루션(009830)(28.23%), 효성화학(298000)(26.98%), 롯데케미칼(011170)(22.13%), 코오롱인더(120110)(15.96%), LG화학(051910)(12.02%) 등 주요 기업의 주가가 두자릿수 하락세를 나타냈다.

최근 이들 화학 기업에 대한 시선이 달라진 것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리라는 기대가 커지면서다. 중국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지난 3월부터 두 달째 50 이상을 기록하는 등 중국 내 경제지표가 호조를 보이며 화학 업황 개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올 1분기 긍정적 래깅 효과로 제품 합산 스프레드가 전 분기 대비 10%가량 상승한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손꼽힌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가 내수 시장 회복을 위해 추진하는 ‘이구환신’ 정책도 실적에 도움이 되리라는 분석이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중국 이구환신 등을 고려하면 화학업종이 정유·태양광보다 모멘텀상 유리하다”며 “중국 중심의 타이어 수요 회복세로 공급 부담이 적은 합성고무·천연고무·타이어코드 등이 수요 회복 사이클에 진입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선 저평가된 일부 화학 종목을 저가 매수할 기회라고 보고 있다. 이진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오랜 다운 사이클을 겪었던 화학업종이기에 재무 구조에 대한 우려로 저평가된 기업들이 다수 존재한다”며 “마진 개선과 함께 현금 흐름이 좋아진다면 밸류에이션 역시 리레이팅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중국의 높은 자급률과 고유가 기조로 화학 종목의 주가가 크게 반등하기 쉽지 않다는 시각도 있어 함께 살필 필요가 있다.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국내 화학 시황에서 중국 영향력이 여전히 막대한 상황에 국내 업체들의 입지는 약해지고 있다”며 “올 하반기 중국 중심의 수요 회복에 따른 시황 개선에도 국내 업체들의 수혜 폭은 과거 대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순엽 (so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