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수리는 농번기 지나서?”…수리도, 교환도 곤란

이유진 2024. 5. 19. 21: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요즘 농기계는 가격이 보통 수천만 원에 이르고, 비싼 건 1억 원이 넘을 정도로 웬만한 고급 승용차 가격과 맞먹습니다.

하지만, 하자 수리나 환불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특히, 수리가 늦어져 농사철을 놓치는 일까지 있다고 합니다.

이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봄을 맞은 들녘 곳곳에서 논갈이, 밭갈이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밭을 갈아야 할 트랙터가 창고에 서 있습니다.

두 달 전 6천만 원에 샀지만, 한 번도 못 써봤습니다.

새 트랙터지만 녹이랑 흠집이 가득하고, 시동을 걸면 부서질 듯, 굉음이 납니다.

운전대는 갑자기 잠겨, 돌아가질 않았습니다.

[강성웅/횡성군 둔내면 : "핸들 이렇게 걸려요. 반대로 튀는 것 마냥 계속 이러니까 위험해서 솔직히 불안해요."]

여러 차례 수리와 반품을 요청했지만, 제조사는 녹이나 흠집은 생기기 마련이라며, 수리도 보름 이상 기다려야 한다는 답변 뿐이었습니다.

[농기계 제조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농번기에는 고객분들께서 동시에 기계를 사용하시기 때문에 수리 요청 물량이 집중됩니다."]

KBS의 취재가 시작되고 나서 업체는 교환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이미 남의 트랙터를 빌려 봄농사를 마친 뒤였습니다.

[강성웅/횡성군 둔내면 : "농번기 같은 경우에는 그 시기를 놓치면 농사에 굉장히 지장이 많이 가는데, 스트레스가 보통이 아니라서..."]

온라인에는 농민들의 불만이 이어집니다.

가격은 고급 승용차와 맞먹지만, 품질이나 사후 관리는 턱없이 뒤쳐진다는 겁니다.

[불량 농기계 구매자/음성변조 : "팔아먹고 그냥 나 몰라라 해요. 당장 써야 되는데..."]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되는 관련 신고는 한 해 30여 건.

하지만 고령화된 농촌에선 아예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태원

이유진 기자 (newjeans@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