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 말고 고쳐 입자"…수선비 보조금까지 주는 프랑스

곽상은 기자 2024. 5. 19. 20: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랑스에서는 개인이 낡은 옷을 수선하거나 전자제품을 수리해도 정부가 보조금을 줍니다.

프랑스는 지난해 말부터 낡은 의류나 신발을 수선할 때 수선비의 최대 60%까지, 수선 항목당 6~25유로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전자제품의 경우 지난 2022년부터 수리 보조금 제도가 시행 중입니다.

프랑스 정부가 수리 정보 제공을 의무화하고 보조금까지 지원하는 건 상품을 오래 쓰는 게 환경을 보호하고 자원 낭비를 막는 첫걸음이라는 인식 때문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프랑스에서는 개인이 낡은 옷을 수선하거나 전자제품을 수리해도 정부가 보조금을 줍니다. 이런 곳에까지 나랏돈이 들어가나 싶기도 한데 그만큼 폐기물 줄이는 게 중요하다는 판단이 깔려있는 것 같습니다.

파리 곽상은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기자>

파리 시내 한 수선업체입니다.

손님이 찾아와 조끼 안감에 난 구멍을 메우는 문제를 상담합니다.

[수선업체 직원 : 주머니 부분을 열고 안쪽에서 구멍을 꿰맬 거예요.]

수선 비용은 12유로, 우리 돈 1만 8천 원 정도인데, 손님은 이 중 5유로만 부담합니다.

나머지 7유로는 정부 보조금으로 충당됩니다.

[니콜라/소비자 : 수선을 하면, 좋아하는 옷을 오래 입을 수 있고 경제적이기도 합니다.]

프랑스는 지난해 말부터 낡은 의류나 신발을 수선할 때 수선비의 최대 60%까지, 수선 항목당 6~25유로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한해 70만 톤에 달할 정도로 급증한 의류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정책입니다.

5년 동안 2천200억 원의 예산이 책정됐습니다.

[오드레/수선업체 매니저 : 보조금 제도 도입 이후 낡은 의류와 신발에 대한 수선 수요가 20% 정도 늘었고, 계속 증가 추세입니다.]

전자제품의 경우 지난 2022년부터 수리 보조금 제도가 시행 중입니다.

여기에 제품을 판매할 때 수리가 얼마나 쉬운지, 수리 가능 기간은 얼마인지 등을 수치화한 '수리용이성 지수' 표기도 의무화했습니다.

[장 파스칼/소비자 : ('수리용이성 지수'가 높으면) 일반적으로 제품 수명이 깁니다. 제품 구매 시 늘 확인합니다.]

프랑스 정부가 수리 정보 제공을 의무화하고 보조금까지 지원하는 건 상품을 오래 쓰는 게 환경을 보호하고 자원 낭비를 막는 첫걸음이라는 인식 때문입니다.

(영상취재 : 김시내, 영상편집 : 신세은)

곽상은 기자 2bwith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