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이 불러준 작품은 꿈에서 본 내용을 영화로 만든 것"

유승목 2024. 5. 19. 17: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레드카펫, 포토콜, 인터뷰, 시상식, 저의 영화 '메아리' 상영까지 일정이 엄청나게 많이 잡혔어요. 정신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큰일 나겠다 싶어서 캘린더에 꼼꼼히 정리했어요."

첫 연출작 '메아리'가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칸 국제영화제 '라 시네프' 섹션에 선정됐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 77회 칸 국제영화제 레드카펫 밟는 임유리 영화감독
스물여섯살 한예종 영화과 학생
경쟁부문 '라 시네프'에서 초대
공대·미대 엿보다가 감독의 길
"차기작은 모두가 사라진 세상"

“레드카펫, 포토콜, 인터뷰, 시상식, 저의 영화 ‘메아리’ 상영까지 일정이 엄청나게 많이 잡혔어요. 정신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큰일 나겠다 싶어서 캘린더에 꼼꼼히 정리했어요.”

지구촌 영화계를 주름잡는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있는 프랑스 남부도시 칸. 이곳에 스물여섯 살 한국인 영화학도가 짐을 풀었다. 첫 연출작 ‘메아리’가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칸 국제영화제 ‘라 시네프’ 섹션에 선정됐기 때문이다. 라 시네프에서는 영화학교 학생들이 제작한 단편 영화들이 경쟁한다. 올해는 2263편이 출품됐고 그 가운데 18편이 칸의 초청장을 받았다. ‘메아리’ 감독은 임유리(사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과 학생이다.

임 감독이 칸 영화제가 개막한 지난 14일 “여행지에서 엽서를 쓰는 기분”이라며 이메일을 보내왔다. “칸이 왜 ‘메아리’를 꼽았을까 곰곰이 생각해봤죠. 처음엔 작품 색채와 분위기가 독특해서가 아닐까 했는데 친구가 영화를 보더니 ‘잔상이 남는다’고 하더라고요. 아무래도 이 말이 맞는 것 같아요.”

‘메아리’는 술 취한 남성들에게 쫓겨 금지된 숲으로 도망친 옥연이 수년 전 옆 마을 영감에게 시집간 앞집 언니 방울을 만나 여성으로 사는 삶의 진실을 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린 20분 남짓의 단편영화다. 단편영화로는 흔치 않은 판타지 사극 장르라는 점에서 시나리오가 묻힐 뻔했지만 2022년 CJ문화재단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영화로 완성될 수 있었다.

영화는 임 감독의 꿈에서 시작됐다. 그는 “꿈에서 본 내용을 글로 남겨보니 영화로 만들어야겠다는 확신이 들었다”며 “영화 마지막 롱테이크 장면은 꿈에서 본 장면과 거의 같다”고 했다. 그는 “차기작으로 ‘메아리’의 장편 버전, 모두가 증발해버린 세계에서 미지의 공간 ‘에덴’으로 향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종말)물 시나리오를 쓰고 있다”고 했다.

임 감독은 스무 살을 훌쩍 넘겨 영화에 입문한 늦깎이 영화학도다. 공과대학에 입학했다가 그만두고, 미대 입시를 준비하다 실패하고 나서야 영화의 길을 찾아냈다고 한다. 그는 “실패를 거듭하면서 ‘난 정말 어떻게 살고 싶은 거지’라는 고민을 하다 한예종을 알게 됐다”고 했다.

‘메아리’는 임 감독에게 ‘맨땅에 헤딩’하는 작업이었고 영화 인생을 지탱하는 원동력이 됐다. “춥고, 배고프고, 밤샘 촬영으로 지칠 대로 지친 시점에 산골에서 강강술래를 추는 장면을 찍는데 에너지가 느껴지지 않는 거예요. 조연출 언니가 소녀시대 노래를 틀었더니 출연자들이 박자감을 잡고 스태프들은 흥에 겨워 웃었죠.” 그는 레드카펫을 앞두고도 “캄캄한 산골짜기 서낭당 앞에서 소녀시대 노래가 울려 퍼지고, 한복 입은 사람들이 머리를 흔들며 강강술래 추던 장면이 기억난다”고 했다.

유승목 기자 moki9125@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