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전장 시장 정조준 올해 車 MLCC 매출1조 목표

성승훈 기자(hun1103@mk.co.kr) 2024. 5. 19. 17: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기가 전기차 부품 시장을 적극 공략해 올해 안에 전장용(차량용 전기·전자장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부문에서 매출 1조원을 거두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김위헌 삼성전기 MLCC제품개발그룹장(상무)은 "전기차 비중이 늘고 있고, 차량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적용이 확대돼 전장용 MLCC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ADAS와 파워트레인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자재 자체조달, 경쟁력 강화
로봇·AI 관련 제품군도 확충

삼성전기가 전기차 부품 시장을 적극 공략해 올해 안에 전장용(차량용 전기·전자장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부문에서 매출 1조원을 거두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삼성전기는 지난 17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MLCC 설명회를 열고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기는 내년까지 MLCC와 카메라, 반도체 패키징 등을 포함해 전장 사업에서 매출 2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전자 산업의 쌀'로 불리는 MLCC는 전기를 저장한 뒤 반도체 등에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전기를 공급해주는 부품이다. 전자제품 안에서 신호 간섭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스마트폰과 TV, 전기차 등 집적회로(IC)가 사용되는 모든 기기에 필요하다.

삼성전기는 전장용 MLCC를 미래 먹거리로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전장용 MLCC는 정보기술(IT) 기기용과 비교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발 기간이 3배 소요되고 가격도 3배 이상 비싸다. 수요 또한 크다. 전기차 1대에 들어가는 MLCC는 최대 2만개에 달한다.

시장조사기관 TSR에 따르면 전장용 MLCC 시장 규모는 지난해 4조원에서 2028년에는 9조5000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은 12%다.

김위헌 삼성전기 MLCC제품개발그룹장(상무)은 "전기차 비중이 늘고 있고, 차량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적용이 확대돼 전장용 MLCC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ADAS와 파워트레인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그룹장은 "IT 기기용과 달리 전장용 MLCC는 수명이 15년 이상 보증돼야 한다"면서 "사용 전압도 2000V에 달하며 충격, 휨, 진동에도 잘 버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엔진처럼 높은 온도에서 MLCC가 사용되기 때문에 150도의 환경에서도 사용을 보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기는 MLCC 원자재를 자체적으로 개발·제조하며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김 그룹장은 "부산 사업장에 전장 전용 원재료 공장을 신축해 2020년부터 가동을 시작했다"며 "원재료를 내재화할 수 있는 업체는 극소수"라고 밝혔다.

삼성전기는 차세대 MLCC 주력 분야로 휴머노이드 로봇, 항공우주, 에너지를 꼽았다. 김 그룹장은 "현재 MLCC 시장의 중심은 IT에서 전기차·자율주행차로 바뀌고 있다"며 "이후에는 로봇, 우주, 에너지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승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