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3사 오프라인 매장 ‘선택과 집중’ 가속화

정유미 기자 2024. 5. 19. 15: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형마트의 ‘선택과 집중’이 가속화되고 있다. 고물가시대 소비심리 위축에다 온라인 쇼핑 트렌드가 확산되는 만큼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에 따라 구조조정하고 있어서다.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국 대형마트 3사의 일부 점포가 올해도 문을 닫거나 폐점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올해 4개 점포가 영업을 종료한다. 지난 2월 부산 서면점을 폐점한 데 이어 이달 말에는 서울 목동점의 문을 닫는다. 목동점은 임대주인 서울 양천구청과 이달 말 계약기간이 끝나 문을 닫기로 결정했다.

오는 7월 31일에는 영업손실이 누적된 대전 유성구 서대전점과 경기도 안양점 영업을 중단한다. 다만 부천 상동점(2025년 2월)과 서울 동대문점(2026년 2월)은 임대주가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어 운영을 잠시 중단했다가 새 건물에 재입점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2019년 6월 전국 140개점이었지만 현재 130개점으로 줄었고 7월 말까지 3개가 더 감소한다.

이마트는 지난 4월 충남 천안 펜타포트점, 지난 7일에는 서울 상봉점 영업을 종료했다. 이마트 점포 수는 2019년 6월 142개점에 달했으나 현재는 131개로 11개가 줄어든 상태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1월 인천터미널점을 닫은 후 추가 폐점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점포 수는 2019년 6월 125개에서 현재 111개로 14개가 줄었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 3사의 점포 수는 2019년 6월 407개에서 지난 16일 기준 372개로 35개가 줄었다.

대형마트 3사는 경쟁력있는 오프라인 매장은 본격적으로 강화에 나선다.

이마트는 경쟁력 없는 지점은 과감히 접는 대신 본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규 출점에 나선다. 연내 최소 5개 이상 출점 대상지를 확보해 식료품 전문 매장(HDS)을 개점한다는 계획이다. 이들 신규 점포는 식료품을 중심으로 상시 초저가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내년에는 서울 고덕강일점과 트레이더스 마곡점을 오픈하고 가양점과 성수점은 새로운 타입의 매장으로 재출점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경기 죽점점의 경우 한 단계 진화한 쇼핑몰로 리뉴얼해 체험형 요소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롯데마트는 식품 매장 확장에 주안점을 두고 재단장을 통해 점포 효율을 꾀한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서울 은평점을 재단장해 매장 면적의 90%를 식료품으로 채운 ‘그랑 그로서리’를 처음 선보여 호응을 얻자 다른 점포로 확대하고 있다.

홈플러스도 기존 점포를 재단장해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을 식품 매장으로 채우는 ‘메가푸드마켓’으로 바꾸고 있다. 2022년 첫선을 보인 메가푸드마켓은 현재 27곳이다.

롯데마트 신개념 오프라인 매장 제타플렉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