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 수급 차질에 카모프 비행시간 20%대 곤두박질, 산불 대응 ‘비상’

박승기 2024. 5. 19. 14: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봄철 산불이 지난 1986년 통계 작성 이후 두 번째로 적게 발생했지만 주력 진화 헬기의 부품 조달 차질이 심화하면서 산불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19일 산림청에 따르면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올해 봄철 산불 조심 기간에 발생한 산불은 모두 175건(58㏊)으로, 2012년 102건(49㏊) 다음으로 피해가 적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불 진화용 헬기 7대 첫 해외서 임차 투입
내년 운행 중단 헬기 12대 이상 증가 우려
산불 진화 주력 헬기인 러시아제 카모프가 부품 수급 차질로 운행을 줄인 가운데 해외에서 임차한 헬기가 산불 진화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산림청

올해 봄철 산불이 지난 1986년 통계 작성 이후 두 번째로 적게 발생했지만 주력 진화 헬기의 부품 조달 차질이 심화하면서 산불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19일 산림청에 따르면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올해 봄철 산불 조심 기간에 발생한 산불은 모두 175건(58㏊)으로, 2012년 102건(49㏊) 다음으로 피해가 적었다. 특히 100㏊ 이상 피해를 낸 산불이 2016년 이후 처음 발생하지 않았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산불 발생 건수는 34.8%, 피해 면적은 1.2%에 불과했다.

산불 최대 위험지역인 경북과 강원에 겨울과 봄철 강수량이 늘면서 산불이 줄었다. 관계 부처 간 대응 체계 구축 및 영농 부산물 파쇄 확대 등 예방 활동도 효과를 발휘했다. 지난해 1만 4338t이던 영농 부산물 파쇄를 올해 11만 7246t으로 8.2배 늘렸다. 주요 산불 원인인 입산자 실화가 지난해 138건에서 34건, 소각산불은 118건에서 39건으로 각각 감소했다. 지난해 6분 40초이던 신고·접수 시간은 올해 3분 2초로 절반 이상 단축됐고, 관계기관 CCTV(7574대)를 활용·공유해 신속·정확한 상황 파악이 가능했다.

최대 산불 발생 위험시기를 넘기면서 한숨을 돌리게 됐지만 상황은 심각하다.

산불 진화 주력 기종인 카모프(KA32) 헬기가 부품 부족으로 정상 가동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비행시간이 예년의 20%대에 불과하다. 산림청은 보유 헬기 29대 중 올해 8대의 운행을 중단키로 하면서 지난해 해외에서 7대를 임차, 투입했다. 미국산 시누크(CH-47) 5대와 오스트리아의 슈퍼 푸마(AS-332) 2대로 임차 비용만 369억원에 달한다. 카모프(3000ℓ)와 비교해 담수량이 시누크는 9450ℓ, 슈퍼 푸마는 4200ℓ로 진화 능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됐지만 임차 기간이 정해져 활용에 한계가 있다. 2월부터 투입된 시누크 헬기는 산불 조심 기간이 종료되기 전인 4월 30일 2대, 5월 10일 3대가 철수했다. 슈퍼 푸마의 임차 기간은 5월 30일까지다.

산림청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러시아 제재로 헬기 부품 수입에 차질이 빚어졌고 러시아도 수출을 꺼리면서 수급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라고 토로했다.

산림청은 내년에 12대의 카모프가 가동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가을 이후 산불 발생 증가나 헬기 결함 발견 시 운행 중단 기체는 더욱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올해 수리온 헬기 2대 구매가 반영됐고, 시누크 헬기 1대가 2년 후 도입될 예정이지만 카모프가 정상 가동되지 않는 한 역부족이다. 더욱이 대형 헬기는 고가에다, 주문 후 제작까지 4년 정도가 소요돼 당분간 해외에서 임차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 관계자는 “카모프 10대 중 7개 이상이 20년 이상 된 헬기로 비행 시간에 따른 점검 및 부품 교환이 더 필요해지면서 가동을 줄일 수밖에 없다”면서 “국가 인증을 통해 대체 부품을 사용할 수 있는 기종으로 변경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