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후 정신과 다녀" "가스라이팅"…'개통령' 회사 혹평 논란

최은서 2024. 5. 19. 14: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통령'으로 유명한 강형욱 훈련사가 운영하는 회사가 퇴사 직원들의 혹평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1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강형욱이 아내와 운영하는 회사 보듬 컴퍼니에 다녔던 직원들이 잡플래닛에 남긴 부정적 평가들이 올라왔다.

잡플래닛은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구직 플랫폼으로, 특정 기업의 전·현직 임직원이 익명으로 평점과 함께 기업에 대한 후기를 남길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듬 컴퍼니 직원 잡플래닛 후기
"강형욱 부부, 메신저 감시·협박"
"인격 모독으로 정신이 피폐해져"
누리꾼 "후기 구체적... 해명 필요"
'개통령'으로 유명한 강형욱 훈련사가 운영하던 회사가 직원들의 폭로로 논란에 휩싸였다. 보듬 컴퍼니 제공

'개통령'으로 유명한 강형욱 훈련사가 운영하는 회사가 퇴사 직원들의 혹평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1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강형욱이 아내와 운영하는 회사 보듬 컴퍼니에 다녔던 직원들이 잡플래닛에 남긴 부정적 평가들이 올라왔다. 잡플래닛은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구직 플랫폼으로, 특정 기업의 전·현직 임직원이 익명으로 평점과 함께 기업에 대한 후기를 남길 수 있다.

잡플래닛에서 보듬 컴퍼니의 기업 평점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1.7점으로 낮은 수준이다. 해당 플랫폼에 달린 후기 27개 중 17개는 별점 1점이었다. 후기 내용의 대다수는 강형욱 부부 등 경영진에 대한 불만이었다.

1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강형욱 부부가 운영하는 보듬 컴퍼니에 다닌 전 직원들이 남긴 잡플래닛 후기들이 올라왔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지난달 리뷰를 남긴 전 직원 A씨는 "퇴사하고 공황장애·불안장애·우울증 등으로 정신과에 계속 다녔다"며 "(강형욱) 부부의 지속적인 가스라이팅, 인격 모독, 업무 외 요구사항으로 정신이 피폐해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메신저를 지정해서 깔게 하고, 변호사를 불러 메신저 감시에 대한 동의서를 강제로 작성하도록 시켰다"며 "메신저를 감시하는 것은 물론 메신저상 내용을 트집 잡아 협박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달 후기를 남긴 전 직원 B씨도 "두 부부의 직원 사생활 감시가 엄청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직원들 사생활을 검열하고 수시로 폐쇄회로(CC)TV로 직원들을 감시했다"고 적었다. 또 "회사 폐업이 잠정적으로 결정된 상황에서 신입사원 채용을 하고 이 사실을 직원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며 "어떤 직원은 통근을 위해 전셋집도 계약했는데 폐업을 이유로 정리 해고를 당해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후기 다수가 "교묘한 가스라이팅", "직원을 인격적으로 대하지 않음", "개를 볼 수 있는 게 장점이지만 개보다 못한 대우를 받을 수 있음" 등 악평을 포함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동물을 진심으로 대하는 인간적인 모습이 호감이었는데 후기가 사실이라면 실망할 것 같다", "믿을 수가 없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부 누리꾼은 "후기 내용이 구체적이고 일관적이라서 해명이 필요할 것 같다"며 강형욱의 유튜브 채널 '보듬TV' 댓글창을 통해 해명을 요구했다. 강형욱은 아직까지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보듬 컴퍼니는 반려견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용품을 판매하고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회사다. 다만 내달 30일부터 내부 사정으로 교육 서비스를 전면 종료한다고 밝혔다. 보듬 컴퍼니 공식 SNS 역시 지난해 12월 12일을 끝으로 새 게시물이 올라오지 않은 상태다.

최은서 기자 silver@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