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캐즘 걱정 안 해" 삼성전기 내년 전장 매출 2조 ‘자신감’

허진 기자 2024. 5. 19. 13: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기(009150)가 내년 전장 관련 매출에서 2조 원 달성을 자신했다.

배경에는 높은 성장성을 노려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사업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김위헌 삼성전기 MLCC 제품개발 상무는 17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브리핑룸에서 진행된 세미나에서 "올해 전장용 MLCC 매출만으로 1조 원을 달성하고 2025년에는 MLCC를 비롯해 전장 관련 전 제품들로 2조 원 매출을 올리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장용 MLCC 올 매출 1조 목표
하이브리드 등 지속 성장 낙관도
로봇·우주항공 개발 청사진 제시
김위헌 삼성전기 MLCC 제품개발 상무가 17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브리핑룸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자사 제품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사진=삼성전기
[서울경제]

삼성전기(009150)가 내년 전장 관련 매출에서 2조 원 달성을 자신했다. 배경에는 높은 성장성을 노려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사업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회사는 장기적으로 인공지능(AI) 서버, 로봇, 우주항공 등 분야에서 MLCC의 신성장 동력을 찾겠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김위헌 삼성전기 MLCC 제품개발 상무는 17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브리핑룸에서 진행된 세미나에서 “올해 전장용 MLCC 매출만으로 1조 원을 달성하고 2025년에는 MLCC를 비롯해 전장 관련 전 제품들로 2조 원 매출을 올리겠다”고 말했다. MLCC란 세라믹과 전극을 층층이 쌓아 만드는 전자 부품의 일종으로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주는 댐 같은 것이다.

500cc 와인잔에 든 3억 원 가량의 MLCC.허진 기자

삼성전기는 여러 용도의 MLCC 중 전장용 제품에 특히 힘을 준다는 계획이다. 전장용 MLCC는 차량 부품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다. 넓은 온도 범위나 충격에도 가동해야 하고 높은 전압·전류 용량을 처리해야 하며 무엇보다 안전과 직결돼 고신뢰성이 보장돼야 한다.

회사가 기존 정보기술(IT) 기기용 제품이 주가 됐던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장용으로 옮기려는 것은 전기차,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발전과 맞물려 성장성이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삼성전기에 따르면 전장용 제품 시장은 2028년까지 연평균 12%씩 성장이 예상된다. IT용이 5%, 전통적 서버, 네트워크 등 산업용 제품이 7%가량 확대되는 데 비해 가파르다. 김 상무는 전기차 캐즘 영향에도 전자용 MLCC 사업만큼은 한동안 고성장 폭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전기차 시장이 다소 주춤한 것은 사실이지만 전장 시장은 지속 성장이 예견된다”며 “사실 순수 전기차 외에도 하이브리드 차도 있고 차 하나에 들어가는 MLCC 수량도 점점 많아지는 추세라 MLCC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MLCC가 700~1000개라면 전기차에 필요한 MLCC는 3만 개를 웃돈다.

중장기적으로는 폭증하는 AI용 제품과 더 멀리로는 로봇, 우주항공 분야에 들어가는 MLCC를 신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특히 IT용 제품에서 핵심인 고사양성과 전장용에 필요한 고신뢰성이 어우러져야 해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김 상무는 “우리 회사는 타 사와 비교할 때 MLCC 기술의 핵심인 원자재를 스스로 생산하고 또 고객사가 원하는 사양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AI 서버나 로봇, 극한의 환경을 이겨내야 하는 우주항공 등 분야에서 쓰일 MLCC 기술 확보에 유리하다고 판단한다”고 자신했다.

허진 기자 hj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