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도 덥다...질병청, 9월까지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

김동식 기자 2024. 5. 19. 13:0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온열질환 예방 포스터. 질병청 제공

 

질병관리청은 이달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열사병, 열 탈진 등 온열질환에 대한 응급실 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는 전국 500여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도, 질병청과 협력해 응급실을 찾은 온열 질환자를 파악하고 폭염의 건강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운영한다.

질병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감시체계 운영 기간에 수집된 질환 발생 현황 정보를 매일 제공할 예정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여름 평균기온이 높고 7~8월에는 무더운 날이 많을 전망이다.

따라서 외출 전 기온을 확인하고, 폭염 시에는 외출을 자제하거나 양산이나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또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등 폭염 대비 건강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 만성 질환자는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하므로 본인뿐 아니라 보호자와 주변인도 건강 상태를 함께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집안과 자동차 등 창문이 닫힌 실내에 홀로 남겨두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부득이 어린이나 노약자를 남겨두고 장시간 외출할 때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한편 지난해 질병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로 파악된 온열 질환자는 총 2천818명(사망자 32명 포함)으로, 1년 전보다 80.2% 급증했다.

지역별로 경기가 683명으로 가장 많았다.

발생 장소는 실외가 2천243명(79.6%)으로 실내(575명, 20.4%)보다 3.9배 많았다. 실외 작업장이 913명(32.4%)으로 가장 많았고 ▲논·밭 395명(14.0%) ▲길가 286명(10.1%)▲실내 작업장 197명(7.0%) 순이었다.

지난해 폭염으로 인한 하루 최대 사망자 수는 7명으로, 온열질환 감시가 시작된 2011년 이후 가장 많았다. 한해 전체 사망자 수도 2018년(48명)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김동식 기자 kds77@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