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타격 전쟁과 비슷…1도 상승마다 GDP 12% 줄어”

최혜린 기자 2024. 5. 19. 11: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3일(현지시간)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 포르투알레그레에 폭우가 내린 뒤 발생한 홍수로 고립된 주민들이 구조돼 물에 잠긴 거리를 걸어가고 있다. EPA연합뉴스

지구온난화로 지구 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전 세계 국내총샌산(GDP)이 12%씩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전쟁 상황에 버금가는 경제적 손실로, 이전에 발표된 추정치의 6배 수준이다.

17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자 에이드리언 빌랄 교수와 노스웨스턴대학의 디에고 칸지그 경제학 교수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은 2100년까지 화석 연료 사용으로 지구 온도가 3도 오를 경우 전 세계 생산·자본·소비가 50% 넘게 급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이는 한 국가가 영구적인 전쟁을 치를 때 발생하는 경제적 피해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빌랄 교수는 “경제 성장이 계속 일어날 수는 있겠지만, 이번 세기말에는 사람들이 기후 변화가 없다고 가정했을 때보다 50% 더 가난한 상태일 것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전쟁과 비교는 소비와 GDP 측면에 한정한 것으로, 인명 피해 등 다른 요소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로 인해 실질적인 구매력이 감소하는 일이 이미 벌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논문은 지난 50년간 지구온난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사람들의 평균 구매력이 지금보다 37% 더 높았을 것이라고 추산했으며, 이같은 손실은 기후위기가 심각해질수록 ‘전쟁 중 발생하는 경제적 피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디언은 이번 논문이 계산한 기후위기의 경제적 피해가 그간 미국 등 각국 정부가 발표한 추정치보다 약 6배 더 높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앞서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탄소 1t을 배출할 때마다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을 190달러(약 25만원)로 추산했지만, 논문은 1056달러(약 143만원)에 달한다고 봤다.

빌랄 교수는 개별 국가를 기준으로 한 이전 추정치와 달리 폭염, 폭풍, 홍수 피해액뿐 아니라 그로 인한 작물 수확량 감소와 노동자 생산성 저하, 자본 투자 감소 등 여러 요인을 포함한 ‘총체적인 관점’에서 비용을 계산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기후변화가 세계 경제에도 큰 타격을 줄 것이라는 연구가 잇따르면서 변화를 늦추기 위한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의 기후경제학자 게르노트 와그너는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써야 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수준”이라면서도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변화를 완화하지 못했을 때 드는 비용이 훨씬 더 많은 것은 분명하다”고 가디언에 말했다.


☞ “2050년까지 세계 소득 20% 줄어”…이유는 기후위기?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404181424001

최혜린 기자 cher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