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시세(금값) 19일 0.850%↑

2024. 5. 19. 09:1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금시세 금값시세 (현재 금값 골드바,24K,18K,14K)

국제 금값은 미국의 금리 인하 및 중국의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2주 연속 상승했다. 은도 11년 만에 처음으로 온스당 30달러를 돌파하며, 기록을 세웠다. 미국 금 선물은 온스당 2,41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경제 전문가는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 둔화와 소매 판매의 정체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여지를 넓혀주었다며, 시장은 이미 2024년 금리 인하를 예측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부동산 위기 극복을 위한 역사적인 조치 발표도 중국 경제에 대한 기대감에 금값 상승을 이끌었다. 투자자들은 올해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두 차례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첫 번째 인하는 11월에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안전 자산으로 여겨지는 금에도 단기적인 역풍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있다. 시장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를 줄일 경우,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더 많은 정보는 기사 하단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금시세 닷컴 일요일인 19일 기준, 순금 한 돈은 팔때 388,500 원, 살때 439,000 원에 거래되고있다. (Gold24K-3.75g)

18K 금시세(금값)는 팔때 286,500 원, 살때 322,5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14K 금시세(금값)는 팔때 222,500 원, 살때 252,5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백금은 팔 때 168,000 원, 살 때 179,0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Platinum-3.75g)

은은 팔 때 4,850 원, 살 때 5,15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Silver-3.75g)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오늘의 금시세는 19일 상승했다.

2024년 5월 19일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19일 순금 1돈(Gold 24k-3.75g) 살때 금가격, 444,000원(VAT포함)이다.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Gold 24k-3.75g) 내가 팔때 금가격, 385,000원(VAT포함)이다.

18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83,000원이다.

14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19,400원이다.

백금시세는 살때 206,000원이며, 팔때 157,000원이다.

은시세는 살때 5,940원이며, 팔때 4,440원이다.

오늘 금값시세, 금값 추이 ©신한은행(오늘의금시세, 국제 금가격, 금값, 금값시세한돈)

신한은행에 따르면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17일 기준 국내 금시세(금값)는 순금(24K) 시세는 1g당 104,742.58원으로 지난주 거래 시작일 금시세(금값)인 103,859.35원 보다 883.23원 (등락률 +0.850%) 상승했다.

한돈이 3.75g인 것을 감안하면 1돈당 392,785원이다. (Gold24k-3.75g)

이날 현재 시간 기준 국내 가격은 상승했고, 국제 가격은 하락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355.00원이다.(매매기준율, 원/달러 환율)

한국거래소(KRX) 국내 금값, 국제 금값

한국금거래소 현재 국내 기준 103,93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주 거래 시작일 종가 103,400원 대비 530원(등락률 +0.513%) 상승했다.

현재 국제 기준 2,385.82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전 거래일 종가 2,350.49달러 대비 35달러(등락률 +1.503%) 상승했다. 국제 금 선물가는 온스당 2,419.80달러로 장을 마감했으며, 이전 거래일 대비 34.30달러(등락률 +1.44%) 증가했다.

달러화 강세와 약세,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매입,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FOMC 회의 내용, 전쟁 등이 금 가격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다음은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요약했다.

19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미국 현지시간 2024년 6월 12일 FOMC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을 8.9%로 전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는 2024년 7월 31일에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은 약 30%로 전망했다. 2024년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약 65% 수준이다.

국제 금값은 미국의 금리 인하 및 중국의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2주 연속 상승했다. 은값도 11년 만에 처음으로 온스당 30달러를 돌파하며, 기록을 세웠다. 미국 금 선물은 온스당 2,41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경제 전문가는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 둔화와 소매 판매의 정체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여지를 넓혀주었다며, 시장은 이미 2024년 금리 인하를 예측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부동산 위기 극복을 위한 역사적인 조치 발표도 중국 경제에 대한 기대감에 금값 상승을 이끌었다. 투자자들은 올해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두 차례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첫 번째 인하는 11월에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안전 자산으로 여겨지는 금에도 단기적인 역풍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있다. 시장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를 줄일 경우,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중국이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해결하기 위한 대규모 부양책을 발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 인민은행은 주택 구입 시 필요한 최소 자기 부담금을 낮추기로 했으며, 첫 주택 구매 시 최소 15%, 두 번째 주택 구매 시 최소 25%로 자기 부담금을 조정했다. 전국적으로 생애 첫 주택 및 두 번째 주택에 대한 상업용 개인 주택 대출 이율의 하한을 철폐한다고 밝혔다. 지방정부가 판매되지 않은 주택을 매입하여 저소득층과 중산층 가정을 위한 주택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포함되었다. 중국의 이번 부동산 부양책에 대해 경제학자들은 중국 주택 위기의 끝을 알리는 신호라고 평가했지만, 미판매 주택 매입으로 단기간에 중국 부동산 시장의 회복은 어렵다고 보는 평가도 존재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대책이 규모 면에서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자금 조달 방식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인민은행은 국유기업의 주택 구매를 지원하기 위해 은행을 통해 약 3천억 위안(약 56조 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중국 내 미판매 주택과 미완성 주택의 규모를 고려할 때,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중국의 4월 산업생산이 전년 대비 6.7% 증가하며 예상치인 5.5% 증가를상회했다. 그러나, 소매 판매는 2.3% 증가해 예상치인 3.7% 증가를 하회했고 1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블룸버그는 이를 중국 경제의 경고 신호로 해석했다. 하지만, 산업생산 이후 발표된 부동산 시장 지원안으로 인해 상하이종합지수와 홍콩 항셍지수가 상승 전환되었다.

미국 노동부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2만2천건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예상치인 21만9천건을 상회하는 수치이며, 이전 발표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3만 1천건에서 23만2천건으로 상향 조정됐다. 이번 주 미국의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79만4천건으로, 예상치인 178만건을 상회했다. 지난 주 미국의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78만5천건에서 178만1천건으로 하향 수정됐다.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와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노동시장의 둔화로 평가하는 시선과 다르게 이전 발표된 23만2천건에 비해 1만건 줄어든 결과로 노동시장의 회복으로 보는 시선도 적지 않다. 금 시장은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으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며, 국제 금값은 다소 하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둔화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준 총재는 “소비자 물가지수(CPI)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낮게 발표되었지만, 여전히 목표치인 2%에는 크게 미달한다. 인플레이션이 목표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며, 연준이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현재 통화 정책을 변경할 이유가 될 만한 지표가 없다. 가까운 시일 내에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올해 인플레이션 진전은 실망스럽다.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열려 있어야 한다. 인플레이션 경로에 대한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중해야 한다."며 연방준비제도가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당분간 현재의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 중 하나인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0선을 돌파하며 거래를 마감했다. 미국의 경제 성장세가 견조하게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상승 지표가 소폭 둔화된 것이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으로 분석된다. 다우지수는 하루 만에 0.34% 상승하며 4만 선을 넘었으며, 이는 종가 기준으로도 처음 있는 일이다.

주말을 앞두고 국제 금값이 급등하여 온스당 2,400달러를 넘어섰다. 미국 국채 수익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1.5%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인 2,431달러를 위협하는 수준까지 다가왔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는 모습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상승했다. 다수의 투자자들은 9월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달러 약세와 맞물려 금값의 상승을 이끌고 있다. 미국의 4월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미국 경제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주었다. 최근 몇 달간 상승세를 보였던 인플레이션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에 주목하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최근 발언에서 금리 인상이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인플레이션 성과에는 만족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의 대형 은행인 웰스파고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웰스파고의 경제 분석가들은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적극적으로 금리 인하를 진행할 가능성이 낮다고 밝히며, 현재의 고금리 장기화가 주식 시장에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웰스파고는 소비자 물가지수가 낮아질 것이며,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방준비제도의 목표 금리는 2025년까지 4.5~4.75% 범위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며, 2025년 예상 금리인하 횟수는 한 차례로 하향 조정했다.

Copyright © bnt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