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표 '반란표'에 신경 곤두선 민주…"색출" "오히려 잘돼" 분분한 의견

박종홍 기자 2024. 5. 19. 0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의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선거에서 우원식 의원을 향한 89표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이재명 대표 일극 체제에 중진 의원들이 반기를 들었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강성 당원을 중심으로 신경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이지만 이 대표에게 나쁘지 않은 결과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당초 원내대표 선거에서 박찬대 후보로 친명계가 단일화하면서 '이재명 대표 일극 체제'에 대한 당내 우려가 제기된 만큼 중진 의원들이 이에 제동을 건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미애 패배에 강성당원 분노…李 "첫 길 가다 보니 다칠 수도"
"리더십 흔들릴 가능성" "연임 반대 여론 잠재워져" 상반된 평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를 접견하며 인사말하고 있다. 2024.5.16/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선거에서 우원식 의원을 향한 89표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이재명 대표 일극 체제에 중진 의원들이 반기를 들었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강성 당원을 중심으로 신경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이지만 이 대표에게 나쁘지 않은 결과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선거에선 우원식 의원이 추미애 당선인에 앞서며 후보로 선출됐다. 명심(이재명 대표 의중)과 강성 당원 지지를 획득한 추 당선인이 선출될 것이란 당초 예측이 뒤집힌 것이다.

선거에는 민주당 22대 총선 당선인 171명 중 169명이 참석했다. 민주당은 각 후보의 득표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우 의원이 89표를, 추 당선인이 80표를 각각 득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19일 민주당 내에선 초선 의원은 주로 추 당선인을 지지했지만 재선 이상 의원은 대체로 우 의원의 손을 들어준 것이란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 당선인 171명 가운데 초선은 71명이다.

선거 결과를 놓고 정치권에선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에 미세한 균열 조짐이 보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친명계 조정식 의원이 추 당선인과 후보 단일화를 선언하고 정성호 의원이 사퇴한 배경에 이 대표의 의중이 있었다는 해석 탓이다. 박찬대 원내대표가 이 대표를 대신해 조·정 두 의원의 중도 사퇴에 개입했다는 후문도 이어졌다.

당초 원내대표 선거에서 박찬대 후보로 친명계가 단일화하면서 '이재명 대표 일극 체제'에 대한 당내 우려가 제기된 만큼 중진 의원들이 이에 제동을 건 것 아니냐는 것이다. 정치권에선 추후에도 재선 또는 중진 의원들이 이 대표 의중과 다른 판단을 내릴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예컨대 과거 이 대표 체포동의안 정국처럼 체포영장이 청구되면 재차 그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강성 당원 사이에선 89표를 반란표로 규정하고 우 의원에 투표한 당선인들을 색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 대표는 전날 이를 의식한 듯 "(당원 중심의 정당이라는) 첫 길을 가다 보니 이슬에도 많이 젖고 스치는 풀잎에 다치기도 할 수 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반면 이 대표에게 오히려 잘된 일이라는 평가도 있다. 우 의원 역시 범친명계로 분류되어 온 만큼 이 대표와 호흡을 맞출 수 있는 데다 추 당선인의 강경 성향에 따라 역풍을 맞을 우려도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여기에 추 당선인이 21대 국회에서 원외에 있어 현역 의원들과의 스킨십이 적었고, 우 의원이 원내 신망이 두텁다는 평가를 받는 점을 감안하면 이 대표 리더십이 위기란 평가는 과도하다는 의견도 있다. 이재명 일극 체제 우려를 잠재운 것이 오히려 이 대표의 당대표 연임에 힘을 실을 수 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최창렬 용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당장 이 대표 리더십에 상처가 나진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상황에 따라 이 대표 리더십이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이 대표가 무엇인가를 과하게 밀어붙이면 중진 의원들이 조직적으로 반발할 수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우 의원이 당선되면서 이 대표 연임에 대한 당위성도 힘을 얻게 됐다. 비명계가 긴장을 풀고 당내 이 대표 연임에 대한 나쁜 여론이 잠재워지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만약 추 당선인이 의장이 되면 대권 도전을 할 것이고 이 대표는 추 당선인 몸집만 키워주는 결과가 되는 것"이라고도 짚었다.

1096page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