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특성화大 올해 2065명 모집, 일반대 지원 횟수 無 [오종운의 입시컨설팅]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 2024. 5. 19.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시 자기소개서 제출 요구…,서류·면접 평가 진행
일반고·자사고 상위권 적극 지원 추천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

(서울=뉴스1)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 = 2025학년도 이공계 특성화 대학인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지스트(GIST·광주과학기술원), 디지스트(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 켄텍(KENTECH·한국에너지공과대) 5개교는 총 2065명을 선발한다. 수시에서 1995명, 정시에서 70명이다.

이들 대학은 특별법에 의거해 설립한 대학으로 수시 6회, 정시 3회 지원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일반대와 같이 중복 지원할 수 있고, 이중 등록도 가능하다.

일반대인 포항공대는 수시 6회 이내에서 복수 지원에 제한을 받고, 2025학년도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만 370명을 모집한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 이공계 특성화 대학, 수시 자소서 제출 요구…서류·면접 평가 진행

일반대는 2024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가 폐지됐지만 이공계 특성화 대학인 카이스트, 지스트, 디지스트, 유니스트는 '대입 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2025학년도에 자기소개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2025학년도 대입 수시 주요 전형 일정을 보면 카이스트 수시모집 지원서와 자기소개서, 독서 이력 작성 기간이 9월 3일부터 9월 11일 오후 5시까지, 교사추천서 입력은 9월 13일 오후 5시까지다.

조기 입학전형(창의도전전형·학교장추천전형)의 최종 합격자 발표는 10월 21일 오전 10시다. 수시 일반전형과 고른기회전형, 특기자전형의 1단계 합격자 발표는 11월 15일, 2단계 면접평가는 11월 28일, 최종 합격자 발표는 12월 13일로 예정돼 있다.

수시 창의도전전형과 일반전형 간 중복 지원은 가능한데, 이외 전형간 중복지원은 불가하다.

지스트는 수시 원서접수와 서류제출(자기소개서 등) 기간이 9월 9일부터 9월 13일 오후 6시까지다.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는 10월 24일 오후 6시, 면접은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실시한다.

디지스트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포함한 수시 원서접수 기간이 9월 9일부터 9월 13일 오후 6시까지다. 학생부종합전형(일반전형· 학교장추천전형·고른기회전형)은 서류평가 100%로 선발하며 과학인재전형만 면접을 11월 19일에 실시한다. 합격자 발표는 12월 9일이다.

유니스트는 수시 원서 접수 기간이 9월 9일부터 9월 12일 오후 6시까지다. 자기소개서 입력 마감은 9월 13일 오후 6시까지다. 학생부종합 일반전형, 지역인재전형, 고른기회전형은 서류평가 100%로 선발하고, 탐구우수전형만 면접 11월 9일에 실시하며 합격자 발표는 12월 13일 이전이다.

카이스트의 학생 선발 인재상은 과학기술 분야에 전문성을 갖추고, 지식탐구가 즐거운 자기주도적 학생, 새로운 길을 개척하려는 열정과 도전의지를 가진 학생 등이다.

수시 창의도전전형과 학교장추천전형(고교별 2명 이내 추천)은 서류평가 100%로, 지원자가 제출한 모든 서류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외 학교생활충실도, 발전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수시 일반전형은 1단계가 서류평가로 진행된다. 모집인원의 2.5배수 내외로 면접대상자를 결정하고,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와 면접평가를 바탕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면접평가는 학업역량(수학·과학·영어 관련), 적합성(지원서 기반 질문 및 공통 질문)을 평가한다.

자기소개서 일부 문항이 변동돼 '타인과 공동체를 위해 노력한 경험과 이를 통해 배운 점', '학업 이외의 분야에서 경험했던 어려움과 역경 극복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를 고르는 선택 문항으로 바뀐다. 창의도전전형에선 5번 문항(창의성 사례 기술)이 폐지된다.

2020학년도부터 5개년 카이스트 면접(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영어, 학업외 역량) 기출 문항과 해설이 학교 입학정보 '면접 기출문제'에 게재되어 있으니 지원 시 반드시 참고한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지스트는 수시 일반전형에선 1단계(6배수) 서류평가,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 점수와 면접평가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2명 이내이고, 1단계(5배수)가 서류 종합평가,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 점수와 면접평가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2단계 면접은 지원자 제출 서류(학생부, 자기소개서 등)을 기반으로 이공계 인재적합성을 종합 평가한다. 전공수학능력 구술면접과 내적역량 구술면접도 실시한다.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된 활동의 참여 사실과 노력, 자기소개서 문항에 기록된 지스트 지원 동기, 주제 발표 내용에 대한 설명 등을 통해 문제해결능력, 수학·과학적 사고 의지, 진학 의지 등을 평가한다. 수학·과학 문제 풀이 구술면접은 실시하지 않는다.

자기소개서 1번 문항은 학습 경험과 교내 활동, 2번 문항은 타인과 공동체를 위한 노력 사례, 3번 문항은 지스트 이루고 싶은 학업 등을 묻는다.

디지스트는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일반전형,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전형) 모두 서류평가 100%로 선발한다. 자기소개서는 모두 2문항으로, 자신의 꿈을 스스로 결정하기 위한 과정과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계획, 꿈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디지스트 진학이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등에 대한 이야기를 기술하도록 했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유니스트는 다른 이공계특성화 대학과는 달리 모집 계열이 이공계열(정원외 반도체 포함)과 경영계열로 구분돼 있다. 이공계열(무학과) 410명, 경영계열 30명, 반도체공학과 40명 등 총 480명을 모집한다. 수시 일반전형은 서류평가 100%로 학업역량, 학교생활충실도, 발전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지역인재전형은 지원 자격이 울산 지역 소재 고등학교에서 입학일부터 졸업일까지 전체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울산에 거주한 자로 규정돼 있다. 서류평가 100%로 선발한다. 올해 신설한 탐구우수전형은 1단계 서류평가 50%와 2단계 면접평가 50%로 선발한다.

자기소개서는 학생부 기반으로 작성할 수 있고, 1번 문항은 유니스트 지원 동기와 재학 기간 노력한 경험, 2번 문항은 UNIST 입학 후 학업계획과 졸업 후 진로계획 기술이다.

켄텍은 수시 일반전형, 고른기회전형 1단계가 서류평가 100%다. 2단계는 1단계 서류평가와 면접평가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2단계 면접은 다른 대학들과 달리 창의성 면접을 실시한다. '창의성 면접 패키지'를 활용해 발산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인문적 통찰 역량 등을 평가하고 다양한 답변이 가능한 열린 문항을 제시한다.

'2024학년도 한국에너지공대 선행학습 영향평가 보고서'에 창의성 면접 기출 문항과 문항 분석, 예시 답안 등이 상세하게 소개돼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4개 과학기술원(카이스트, 지스트, 디지스트, 유니스트)은 7월까지 입학설명회와 상담을 공동 주관으로 실시한다. 다음달 8일 광주 지스트, 15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열리고, 7월 25일부터 27일까지는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켄텍은 8월까지 고교 방문 설명회를 진행한다. 시·도교육청이 주관하는 대입박람회에 참여해 입학설명회와 상담을 실시한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카포'와 복수 지원 가능…일반고·자사고 상위권 적극 지원 추천

올해는 의대 증원과 함께 첨단학과 증원 등이 있어 이공계 특성화 대학 합격선이 이전보다 소폭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적극 도전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공계열 희망 상위권 수험생들은 이른바 '서카포'(서울대·카이스트·포항공대)와 연세대· 고려대, 성대·한양대 등을 지망한다. 지스트, 디지스트, 유니스트, 켄택 등은 복수 지원하는 경향이다.

수시 지원 시 면접 출제 경향과 일정을 우선 고려하고, 출신 학교별 특성과 합격선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원한다.

카이스트를 제외하면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일반고 합격자 비율은 40% 이상 70% 내외 정도다. 예상보다는 높은 편이라 일반고, 자사고 상위권 수험생들은 적극 지원해 볼 수 있다.

과학고와 영재학교 출신은 일반전형 중심으로, 일반고 출신은 지원 자격이 주어지면 학교장추천전형 또는 일반전형으로 지원하는 경향이다.

카이스트, 지스트, 디지스트, 유니스트 서류평가에선 학업 역량을 높게 평가 받을 수 있도록 학생부 내용을 관리하고, 지망 대학의 인재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자기소개서를 최선을 다해 작성해야 한다.

2단계 면접을 실시하는 카이스트, 지스트, 켄텍, 디지스트 과학인재전형과 유니스트 탐구우수전형은 지원 대학별로 면접 출제 경향이 다르다. 선행학습 평가 보고서와 기출 경향을 잘 살펴서 맞춤형으로 대비한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