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 개발해도 출시엔 4개월 이상…속 터지는 KC인증

김지숙 2024. 5. 18. 21: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선풍기나 에어컨, 전기매트 등 국내에서 파는 모든 전기제품은 안전성 검사인 KC 인증을 받아야 판매 할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 인증이 빨리 나와야 제품을 제때 팔 수 있는건데 기간이 수 개월씩 걸려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합니다.

김지숙 기잡니다.

[리포트]

이 업체는 지난해 4월, 신제품 선풍기를 개발했지만, 뜻밖의 복병을 만났습니다.

제품을 판매하려면 KC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7월이 다 돼서야 나온겁니다.

여름 시장 공략을 위해 개발한 신제품인데 조기 출시 효과는 사라져버렸습니다.

여기에다 해외 직구 플랫폼을 통해 값싼 제품들이 들어오면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호소합니다.

[오만성/선풍기 제조업체 대표 : "이미 중국제들을 다 판매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뒤늦게… 판매를 못 해요, 다 철이 다 지나서…"]

인증을 받는 데까지 너무 오래 걸려서 제때 팔지 못한 선풍기들은 이렇게 다 재고로 남아있습니다.

전기제품이 KC 인증을 받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6개월.

7개월 이상 걸린 제품도 있을 정도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인증 기관 부족.

한 해 쏟아지는 신제품은 만 2천여 건이나 되지만, 단 세 곳의 전기제품 KC인증 기관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전선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사업의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는 게 있죠. 고객은 저희를 기다려주지 않잖아요."]

인증 기관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중소기업 부담 등으로 인해 20년 넘게 인증 수수료를 올리지 못해, 시설과 인력에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인증대행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돈이 안 되니까 굳이 장비 투자를 안 하고 (시험 장비가) 고장 나서 이거 언제 수리가 될지 모르니 기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올해 안에 인증 기관을 확대하고 인증 대상 품목 축소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지숙 기자 (vox@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