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후 말문 막혔다면…노래 부르는 게 좋아” 왜?

김영섭 2024. 5. 18. 1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뇌졸중을 일으킨 뒤 말문이 막히는 실어증에 걸린 사람의 재활에는 노래가 좋으며, 이는 노래가 뇌의 구조적인 '언어 네트워크'를 복구해주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헬싱키대 의대 연구팀은 뇌졸중 치료 후 언어장애인 실어증을 앓고 있는 환자 54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앞서 연구팀은 노래 부르기가 뇌졸중 환자의 언어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뇌졸중 후 25~40%, 실어증 앓아…노래, ‘신경가소성’ 개선해 뇌의 ‘언어 네트워크’ 연결성 높여
노래 부르기는 뇌졸중 후 실어증을 앓는 사람의 재활에 효율적이다. 노래가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을 높여 뇌의 언어 네트워크를 복구해주기 때문이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뇌졸중을 일으킨 뒤 말문이 막히는 실어증에 걸린 사람의 재활에는 노래가 좋으며, 이는 노래가 뇌의 구조적인 '언어 네트워크'를 복구해주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헬싱키대 의대 연구팀은 뇌졸중 치료 후 언어장애인 실어증을 앓고 있는 환자 54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의 책임 저자인 알렉시 시보넨 교수(신경과)는 "노래를 통한 실어증 환자의 재활이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의 변화, 즉 뇌의 가소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다"고 말했다. 앞서 연구팀은 노래 부르기가 뇌졸중 환자의 언어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시보넨 박사는 "신경 가소성이 좋아지면 환자의 언어 생산 능력이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래를 부르면 뇌의 특정 부위(좌측 전두엽의 언어 영역)에서 회백질의 양이 늘어나, 언어 네트워크 연결성이 많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구조적 언어 네트워크에는 언어와 음성의 처리에 관여하는 뇌의 피질 영역과 피질의 여러 끝점(end points)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 백질 관로(hite matter tracts)가 포함된다.

뇌졸중으로 실어증에 걸리면 이 언어 네트워크가 손상돼, 말이나 글을 이해하는 능력과 글을 쓰는 능력이 뚝 떨어진다. 뇌졸중을 겪은 사람의 25~40%가 실어증을 앓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약 50%는 첫 발작 1년 뒤에도 실어증으로 고통받는다. 실어증을 앓으면 개인의 기능적 능력과 삶의 질이 떨어지며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진다.

연구팀은 뇌졸중 치료 후 실어증에 걸린 환자를 조사했다. 참가자 54명 가운데 28명은 연구 시작과 종료 시점에 자기공명영상(MRI) 스캔을 받았다. 연구팀은 참가자의 합창단 노래, 음악치료, 가정에서의 노래 연습을 통한 재활 효과를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노래가 환자의 재활 치료에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 부르기는 특히 다른 유형의 재활을 받기 힘든 환자의 언어장애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 결과(Structural Neuroplasticity Effects of Singing in Chronic Aphasia)는 국제학술지 《이뉴로(eNeuro)》에 실렸다.

김영섭 기자 (edwdkim@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