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반갑지만…" 쇼핑 트렌드 변화에 'CJ올리브영 vs K면세업계' 희비

이혜원 기자 2024. 5. 18. 1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국인 관광객 수가 회복된 가운데, 면세채널과 H&B(헬스앤뷰티) 채널의 희비가 엇갈렸다.

이 가운데 국내 신진 뷰티브랜드를 상당수 취급하는 CJ올리브영이 약진하는 모습이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국내 '글로벌관광상권'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 매출 늘어났다"며 "국내 소비자의 니즈 변화와 글로벌 K뷰티 인기 트렌드에 맞춰 상품 다양성, 멤버십 서비스, 매장 환경, 앱 편의성 등 전반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리브영, 1분기 매출 1조762억원…순손익 1059억원
롯데·신라·신세계면세, 매출 늘었으나 영업익 부진해
[인천공항=뉴시스] 김선웅 기자 = 근로자의 날과 어린이날 연휴를 포함한 엿새간 인천공항 해외 여행객 수가 112만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1~6일 인천국제공항 일평균 여객수는 18만여 명이고 승객이 가장 많은 날은 마지막 날인 6일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여행객들이 오가고 있다. 2024.05.06. mangusta@newsis.com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외국인 관광객 수가 회복된 가운데, 면세채널과 H&B(헬스앤뷰티) 채널의 희비가 엇갈렸다.

K뷰티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면세점보다는 로컬채널에서 K뷰티제품을 구매하는 수요가 더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약 340만3000명으로 코로나19 이후 분기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국내 신진 뷰티브랜드를 상당수 취급하는 CJ올리브영이 약진하는 모습이다.

지난 1분기 CJ올리브영의 외국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했다.

국적별 매출 신장률은 ▲중국 (673%) ▲일본 (285%) ▲대만 (229%) ▲미국 (230%)로 집계됐다.

실제 CJ올리브영의 지난 1분기 매출은 별도기준 1조762억원으로 전년 동기 8280억원 대비 30% 늘었다.

같은 기간 올리브영의 순손익은 1059억원을 기록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국내 '글로벌관광상권'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 매출 늘어났다"며 "국내 소비자의 니즈 변화와 글로벌 K뷰티 인기 트렌드에 맞춰 상품 다양성, 멤버십 서비스, 매장 환경, 앱 편의성 등 전반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리브영 홍대타운 2층에 위치한 프래그런스바에서 고객들이 향수 시향을 하고 있다. (사진=CJ올리브영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면세점은 매출은 상승했으나, 영업이익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롯데면세점의 1분기 매출은 81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으나, 영업손실 280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신라면세점 역시 1분기 매출은 83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59억원으로 같은 기간 77% 하락했다.

1분기 신세계면세점 매출과 영업이익은 4867억원, 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8%, 70% 줄었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중국 내수 경기침체 장기화 여파로 유커의 매출 회복 속도가 팬데믹 이전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며 "뷰티제품보다는 럭셔리제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arch1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