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희생자들 찾은 尹…박금희·김용근·한강운 묘소 참배

이영주 기자 2024. 5. 18. 11: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44주기 5·18민주화운동 정부기념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기념식 직후 참배에 나선 열사들의 면면에 관심이 모인다.

18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화운동 정부기념식을 마치고 5·18 당시와 이후 숨진 희생자들의 묘소를 참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헌혈하고 귀가 중 무차별 총격 숨진 여고생 박금희
독립운동가, 6·25 참전용사이자 5·18 유공자 김용근
계엄군 무력 진압 맞서다 연행돼 고초 겪은 한강운
[광주=뉴시스] 조수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4.05.18. chocrystal@newsis.com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제44주기 5·18민주화운동 정부기념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기념식 직후 참배에 나선 열사들의 면면에 관심이 모인다.

18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화운동 정부기념식을 마치고 5·18 당시와 이후 숨진 희생자들의 묘소를 참배했다.

윤 대통령은 헌혈 이후 귀가하다 계엄군의 흉탄에 숨진 고(故) 박금희양, 독립유공자이자 6·25 전쟁 참전 유공자이면서 5·18 당시 항거했던 고 김용근씨, 항쟁 당시 광주공원 경계근무도중 연행돼 고초를 겪고 숨진 시민군 고 한강운씨의 묘소를 찾았다.

박양은 계엄군의 발포로 부상당한 시민들을 위해 헌혈 운동에 동참한 뒤 집으로 돌아가던 중 계엄군의 흉탄에 목숨을 잃었다.

1980년 당시 춘태여고(현 전남여자상업고) 3학년에 재학중이던 박양은 5월21일 오후 '부상자들을 위한 혈액이 모자라다'는 소식을 듣고 택시를 타고 기독병원으로 향했다.

택시운전사가 "어른들이 헌혈을 하고 있으니 학생은 그냥 집으로 돌아가라"고 말려도 기어이 기독병원으로 향해 헌혈에 동참했다.

헌혈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던 박양은 지원동 1번 버스 종점에서 광주-화순간 외곽도로봉쇄 명령을 받고 이동하던 제7공수여단 33대대 7지역대의 총탄에 맞고 16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박씨의 묘소는 1묘역 1-26번에 조성됐다.

김씨는 일제강점기인 1917년 북녘에서 태어났다. 평양숭실학교에 재학중이던 당시 일제의 신사참배에 거부하고 이후 연희전문학교에 다니던 중 일본 총독 암살단을 조직한 혐의로 두차례 각 3년씩 옥고를 치렀다.

6·25 전쟁 도중에는 육군 제9사단에 입대해 참전했으며 이후 고등학교 역사교사로 재직하다 은퇴해 전남 강진에 귀농했다.

그는 5·18 당시 지명수배된 제자들을 집에 숨겨줬다는 이유로 체포돼 6개월 동안 고초를 겪었다. 당시 얻은 수감 후유증으로 1985년 숨졌다.

김씨의 제자들은 지난 1995년 '김용근 민족교육상'을 제정해 오늘날까지 그 뜻을 기리고 있다. 김씨의 묘소는 1묘역 3-16번에 조성됐다.

한씨는 5·18 당시 화물차 운전수로 일하다 항쟁에 참여했다. 시민들을 향해 시위 동참을 호소하고 자신의 화물차를 이용해 시위대를 도청으로 이송했다.

그는 5월27일 사직공원에서 총을 들고 경계근무를 서던 중 신군부의 대시민군 무력 진압 작전 '상무충정작전'에 맞서다 연행됐다.

고초를 겪고 석방된 뒤에도 당시 비일비재했던 정보기관의 가택수색, 감시 등에 시달리다 2002년 42세로 숨졌다. 한씨의 묘소는 1묘역 4-73에 조성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1980년 5월 광주의 그 뜨거운 연대가 오늘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을 이룬 토대가 됐다"며 "미래세대가 내일을 꿈꿀 수 있도록 도전과 기회의 토양을 더욱 단단히 다져야 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묶고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eeyj2578@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