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와 행복'의 화가 구채연, 갤러리71에서 ‘동고동락’ 초대전

강희수 2024. 5. 18.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치유와 행복'의 화가 구채연이 또 초대전을 연다.

구상화가 구채연이 YTN 아트스퀘어 초대전에 이어 윤보선길 갤러리71에서도 '동고동락' 초대전을 연다.

우리 사회에 '행복'과 '치유'의 중요성을 전해오는 구상회화 부문 중견 작가인 구채연이 5월 27일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갤러리71'에서 '구채연 초대전'을 이어 나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SEN=강희수 기자] '치유와 행복'의 화가 구채연이 또 초대전을 연다. '치유와 행복의 화가'라는 닉네임에 어울리게 가정의 달 5월이 되면 그를 찾는 전시회가 많다. 

구상화가 구채연이 YTN 아트스퀘어 초대전에 이어 윤보선길 갤러리71에서도 ‘동고동락’ 초대전을 연다. 

우리 사회에 ‘행복’과 ‘치유’의 중요성을 전해오는 구상회화 부문 중견 작가인 구채연이 5월 27일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갤러리71’에서 ‘구채연 초대전’을 이어 나간다. 

이번 전시 주제는 ‘서로 아끼고 사랑하는 내용을 담은, 동고동락(同苦同樂)’이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지인들과 아트(Art)·문화의 거리, 윤보선길을 거닐며 눈여겨볼 ‘구상화(구상회화)’ 전시다.

‘구상화’는 현실 속에 실제 존재하거나, 존재할 법한 조형 및 차원적 공간의 재해석, 표현 매개체들의 특징들을 작가의 세계관과 연결된 ‘스토리텔링(이야기)’에 더해 그려내는 회화다.

대표적인 구상회화 ‘거장(巨匠)’은 파블로 루이스 피카소(Pablo Ruiz Picasso)다. 시대에 따라 청색에서 붉은 홍색, 분홍색 등 다양한 대조적 색상들이 등장하는데 피카소 작품은 20세기 이후 현재까지 구상회화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작품명 ‘내친구’. 한국적 도자기 소재에 입체적으로 묘사된 꽃은 희망을 뜻하는 평가를 얻고 있다. /구채연 작가 제공.

구채연 작품에도 이 같은 구상화 특성들이 엿보이는데 부드럽고 따뜻한 에너지가 많다. 푸르른 대지와 바다, 구름, 꽃, 하늘 품은 찻잔 속 파랑새, 사람을 닮은 고양이 캐릭터는 차별화돼 있다. 모두 치유와 희망을 전달하는 매개체들이다.

이런 작가 작품에 대해 임지영 예술 칼럼니스트는 앞서 “구채연 작가의 그림은 밝고 깊다. 이는 쉽지 않은 것”이라며 “ 슬픔을 아는 웃음이 더 아름다운 것처럼, 작가의 깊음을 간직한 밝음은 마음 저 깊은 데서 길어 올려진 것”이라고 평했다.

작품명 ‘꽃마중’. 아름다운 색과 황토 등의 소재로 캔버스 위 입체적인 작품 구조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구채연 작가 제공.

특히 작가는 ‘구상화는 난해하고 어렵다’는 일부 시각에서 벗어나 은유적 표현의 아름다움으로 구상의 대중화를 지향하며 작품 활동을 해오고 있다. 이에 대해 구 작가는 이달 초 진행한 ‘YTN’과 나눈 인터뷰에서 “관객이 작품을 통해 ‘함께 행복’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또 ‘행복과 치유를 구상화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 “제가 체험한 내용들이 작품 스토리에 더해지고 있다”며 “작업의 주요 조형 언어가 되어주는 사람을 묘사한 고양이, 나무, 꽃, 찻잔 등은 우리들 삶 속 일상의 소재들인데 이들을 저 마다의 색상과 구상으로 묘사해 행복 에너지를 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에선 작가의 주요 세계관인 ‘동고동락’ 지향점이 더해진 작품들이 선보여 진다. 하나의 작품에 각자 독립되어 있는 또 다른 에피소드들이 모여 있는 작품도 만나볼 수 있다.

작품들의 주된 공통점은 ‘치유 그리고 행복’이다. 현실 세계에 있을 법한 ‘꽃마중을 나온 고양이’, ‘청색 도자기 속 기지개를 켜는 고양이’ 등이 더해진 20여점 작품들이 관객들을 맞는다. 한국적 소재인 ‘황토’를 사용하고, 푸른 청색을 올린 ‘찻잔’과 ‘도자기’를 캔버스 위에 입체적으로 빚어내는 작품들도 선보인다.

구채연 작가는 ‘한국미술재단 구채연전’, ‘서울 아산재단 갤러리 구채연초대전’, ‘아트리에갤러리 오늘도 자람’, ‘더숲 갤러리 일일시호일’, ‘아르떼 숲 내겐 주머니가 없어’, ‘돈화문갤러리 중견작가집중조명전’ 등 활동을 이어왔다. /100c@osen.co.kr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