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에 채권형 펀드 인기 급상승

장병철 기자 2024. 5. 18. 08: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물가 불안이 진정되면서 국내 투자 자금이 채권형 펀드로 대거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금리 인하가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기대감이 되살아나면서 채권 투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강승원 NH투자증권의 연구원은 "미국 당국의 금리 인하는 연내 1∼2회 할 것으로 예측되나 얼마나 빨리하느냐, 즉 속도가 관건으로 판단된다. 다음 달 발표하는 5월 실업률 지표가 인하 압력을 가늠할 중요한 계기를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권펀드 설정액 한주간 2조1000억 원 늘어…주식펀드는 1100억 원 감소

미국의 물가 불안이 진정되면서 국내 투자 자금이 채권형 펀드로 대거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금리 인하가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기대감이 되살아나면서 채권 투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16일 기준 50조5533억 원으로 1주일 전(48조4417억 원)보다 2조1116억원 늘었다. 반면 국내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47조2383억 원으로 한 주 전(47조3551억 원)에 비해 1168억 원 줄었다. 이로 인해 채권형 펀드 설정액이 주식형 펀드를 3조3000억여 원 웃돌았다. 이로써 채권형 펀드와 주식형 펀드 간 격차는 지난 2일 6000억 원에서 2주 새 5배 이상으로 벌어졌다

채권 투자 열기는 지난 15일 공개된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둔화한 것을 확인되면서 정점을 찍었다. 미국 4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 3월(3.5%)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소폭이지만 CPI 상승세가 둔화한 건 올해 들어 처음으로 멀어지는 듯했던 금리 인하 기대를 되살려냈다. 한때 연내 금리 인하 자체가 불투명해 보였으나 다시 9월과 12월 두 차례 인하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면서 지난달 하순 연 4.7%대로 뛰었던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4월 CPI 공개를 전후해 15bp(1bp=0.01%포인트) 이상 급락하면서 연 4.3%대로 낮아졌다. 이 영향으로 우리나라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연 3.7%대에서 3.4%대로 하락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그러나 일각에선 신중론도 만만찮다. 수입 자재 물가가 높은 점 등 세부 불안 요소가 많아 금리 인하 조처가 기대에 못 미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통화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관망세가 상존하면서 종합자산관리계좌(CMA)나 머니마켓펀드(MMF) 같은 파킹형 금융상품 수요는 여전히 크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CMA 잔액은 16일 기준 81조7548억 원으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 13일은 84조2496억 원으로 최근 6개월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 일별 CMA 잔고 평균치인 75조312억 원과 비교하면 12% 이상 증가한 것이다.

MMF 설정액은 16일 기준 206조4535억 원으로 전월 말 대비 9조3163억 원 늘었다. CMA와 MMF는 안정적으로 수익금이 나오고 환금성이 좋아, 투자자들이 용처를 정하지 못한 자금을 묻어 놓는 곳으로 통한다.

강승원 NH투자증권의 연구원은 "미국 당국의 금리 인하는 연내 1∼2회 할 것으로 예측되나 얼마나 빨리하느냐, 즉 속도가 관건으로 판단된다. 다음 달 발표하는 5월 실업률 지표가 인하 압력을 가늠할 중요한 계기를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증시 진입을 준비하는 돈인 투자자 예탁금은 16일 기준 56조2355억 원으로 한 주간 5704억 원 늘었다. 지난 2일 정점(58조7908억 원)을 기록한 이후 54조∼56조 원대에서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장병철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