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스타를 만든 마법? 아웃-인 바꿔 ‘아멘코너’ 신화 탄생

민학수 기자 2024. 5. 18. 06: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 읽어주는 남자’ 최진하①] 마스터스 첫 대회 끝나고 더 어려운 코스를 나중에 배치
메이저 골프 대회 마스터스가 열리는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 클럽하우스./AP 연합뉴스

최진하 전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경기위원장은 지난해 여름 용인대학교 대학원에서 ‘골프 규칙의 진화 과정에 관한 연구 –형평성 이념(Equity)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체육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 논문을 완성하기 위해 지난해 2월 7년간 재임한 KLPGA 경기위원장에서 물러났다. 논문에서 그는 “골프는 진실을 추구하는 게임인가?”라고 묻는다. 예를 들어 공이 러프 속으로 사라졌다는 ‘진실’을 알더라도 3분 이내에 그 볼을 찾지 못하면 그 볼은 ‘사실’상 분실된 볼로 처리된다. 결국 골프는 형평성이란 틀 위에서 최대한의 진실을 추구하는 게임인 것이다.

그는 서강대 정치외교학과와 킹스칼리지런던 대학원을 수료한 정치학도로 출발해 출판업계에서 골프의 역사와 규칙에 흥미를 가져 골프 박사가 된 독특한 이력을 지녔다. 세계 골프규칙을 관장하는 영국 R&A와 미국 USGA(미국골프협회)의 레프리 스쿨을 모두 이수하고 두 기관으로부터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이런 그가 올해 초부터 PGA투어 6개 대회와 마스터스를 직관하고 토리 파인스, 와이알레, 리비에라 등 세계 유명 10개 코스를 탐방하고 돌아왔다. 그는 ‘코스 읽어주는 남자’라는 컨셉으로 서너 권의 골프 책을 쓰고 싶다고 했다. 코스 설계 관련 서적도 50권 정도 주문해서 탐독하고 있다.

매년 마스터스를 전세계의 골프 축제로 만든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 이야기부터 들어본다.

-매년 마스터스를 여는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의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은 세계 최고의 클럽 가운데 하나로 꼽힙니다. 오거스타 내셔널을 특별하게 만든 역사적인 결단들이 있었다고 합니다?

“1934년에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니 올해가 90주년이면서 88번째(2차 대전 중에는 미개최) 마스터스였습니다. 첫 번째 결단으로는 아웃 코스와 인 코스를 바꾼 것입니다. 첫 대회가 끝나자 마자 출발 순서를 바꿨습니다. 기상 조건이 일차적인 원인이었습니다. 서리가 끼는 시기라서 그늘이 있는 낮은 지대에 있는 홀보다는 높은 지대에 있는 홀부터 출발하면 좋겠다는 이유로 아웃-인 코스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보다 근본적인 이유로는 현재의 인 코스가 더 어렵게 플레이되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아웃 코스에는 5번 홀 이외에는 드라마를 가져올 홀이 없지요. 반면에 인 코스에는 아멘 코너라고 불리우는 홀들이 있습니다. 스릴과 드라마를 창출하고 있지요. 아웃 코스에는 물이 없지만 인 코스에는 물이 5개 홀(11, 12, 13, 15, 16번 홀)에 걸쳐서 존재합니다. 보비 존스의 언급처럼 볼이 물에 빠지는 것은 비행기 추락(a plane clash) 사고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상처없이는 탈출이 불가능합니다. 추락은 각본없는 드라마를 쓰게 됩니다. 두 번째 결단으로는 대회 명칭을 바꾼 것이지요. 1차 대회는 오거스타 내셔널 초청 대회(Augusta National Invitation Tournament)였습니다. 1940년부터 마스터스 토너먼트(The Masters Tournament)라는 명칭으로 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그저 그런 초청대회가 아니라 명인들의 각축장이 된 것입니다. 이러한 두 결단으로 인 코스의 아멘 코너와 마스터스라는 환상적인 조합이 탄생하게 된 것이지요. 아웃 코스에서 예열을 마친 명인들은 인 코스 아멘 코너에서 결정적 시험을 거쳐 우승자를 가리게 된다는 공식이 성립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아멘 코너가 없는 마스터스는 생각 조차 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마스터스 개막을 사흘 앞둔 3일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함께 9홀 연습라운드를 돌던 김주형(왼쪽부터)과 타이거 우즈, 로리 매킬로이, 프레드 커플스가 16번홀(파3)에서 팬서비스 전통인 '물수제비 샷'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유리알 그린도 마스터스의 명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는데, 그 비밀은 어디에 있을까요?

“저도 참으로 궁금합니다. 그린 스피드가 4.3m까지 나온다고 하는데 가능할까라는 의구심이 듭니다. 창립자이면서 설계가인 보비 존스는 홀을 직접 공략할 수 있는 부드러운 그린을 싫어했습니다. 빠르고 단단한 그린이야말로 진정한 고수를 가릴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그린은 초기에 버뮤다 잔디로 조성되었습니다. 엽폭이 넓어서 스피드가 느린 편이었습니다. 이를 만회하고자 그린의 굴곡을 좌-우-상-하로 심하게 조성하였습니다. 1980년대부터 그린 잔디를 잎이 가느다란 벤트로 바꾸었고, 더 짧게 깎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린 스피드는 더 빠르게 만들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단단함인데 이는 수분의 양으로 조절하게 됩니다. 단단하면서도 빠른 그린에서는 홀을 뚫을 수 있는 구역(소위 cup zone)이 좁고 한정되어있습니다.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그린에서 내리막 퍼팅을 절대적으로 피해야 되는 이유가 바로 그린이 빠르고 단단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2-3단 그린에서 위에서 아래로 퍼팅을 하는 경우에는 거리 조절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기를 피할 수가 없을 겁니다. 그린의 굴곡-그린의 경도-잔디의 밀도와 예고(잔디를 깎는 높이)-빠른 스피드간의 상관관계라는 고차원 방정식을 푸는 방법이나 기술은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이 세계 최고라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4.0m의 빠르고 단단한 그린을 하루만 유지해도 그린 잔디는 죽어버릴 가능성이 높은데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유리알 그린은 경이로운 사실입니다.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전설에 유리알 그린은 빼놓을 수 없다고 봅니다.”

88회 마스터스가 열린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의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최진하 박사./올댓골프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명성을 유지하게 만드는 비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끊임없는 진화 과정입니다.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은 겨울용 골프 코스입니다. 여름을 견딜 수 없습니다. 마스터스가 끝나면 다음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휴장한다는 얘기가 있는데 사실이 아닙니다. 시즌이 끝났기에 자연스럽게 골프 클럽은 휴장하게 됩니다. 이 기간에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은 매년 진화해 왔습니다. 매년 코스를 더 좋게 변모시킨다(Make the course better)는 모토가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명성을 유지시키는 마지막 열쇠(Key)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진화 과정에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의 역량이 모두 투입되고 있는 것이지요. 외부의 좋은 아이디어들도 집결되어 있습니다. 맥스웰의 그린 조성, 존스 시니어의 호수(lake) 조성, 톰 파지오의 나무 식재, 니클라우스의 그린 마운드 조성 등 저명한 코스 설계자들의 창조적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코스를 끊임없이 개조하고 있습니다. 홀들의 전장도 계속 늘어났는데, 어느 정도는 한계에 봉착한 듯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린을 뒤로 옮겨서 코스 전장을 늘리자는 아이디어가 있을 정도입니다. 못말리는 진화 DNA가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 클럽 주변에는 활발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최고의 코스를 준비하여 최고의 명인들을 테스트하여 최고의 명인을 뽑자는 생각과 끊임없는 실천이 마스터스를 메이저 중의 메이저로 만들었고, 최고의 골퍼라면 반드시 참가해야 하는 메이저 대회로 만든 비밀이라고 생각합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