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적 ‘저탄고지’ 식단, 세포 노화 막는다…장기간 유지하면 역효과도

이병철 기자 2024. 5. 18. 0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간헐적으로 '저탄수화물·고지방' 음식을 먹는 케토(keto) 식단이 노화를 막아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우스 교수는 "간헐적 케토 식단이 부작용도 적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확인한 연구"라며 "케토 식단의 효과는 유지 기간과 시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좋은 효과를 낼 수도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침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연구진, 생쥐에게 간헐적 케토 식단 제공
노화 유발 단백질 감소, 사람에서도 효과 비슷
대표적인 LCHF 식단으로 꼽히는 “케토 다이어트’의 주요 식재료들. /트위터 캡처

간헐적으로 ‘저탄수화물·고지방’ 음식을 먹는 케토(keto) 식단이 노화를 막아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장기간 케토 식단을 유지하면 오히려 노화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오랜 시간 불균형한 영양분 섭취를 하다가는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데이비드 기우스 미국 샌안토니오 텍사스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18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간헐적 케토 식단을 제공한 생쥐에서 노화로 인한 세포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케토 식단은 저탄수화물·고지방의 앞 글자를 따서 저탄고지 식단이라 불린다. 원래 1920년대 뇌전증으로 인한 발작을 줄이기 위해 개발됐다. 지방을 소화할 때 나오는 케톤(ketone)을 뇌 활동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해 발작 증상을 감소시키는 원리다. 지금까지도 청소년 뇌전증 환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체중 감소 효과가 있어 최근 다이어트 식단으로 더 잘 알려졌다.

케토 식단의 효능은 발작 억제와 체중 감소에만 그치지 않는다. 앞서 생쥐를 이용한 연구에서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기억력 감퇴를 막아주는 효과도 확인됐다. 케토 식단으로 먹이를 먹은 생쥐의 수명은 일반식을 먹은 경우보다 약 13% 길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진은 케토 식단이 수명에 미치는 이유를 찾기 위해 생쥐 실험을 했다. 사료의 영양분을 지방 90.5%, 단백질 9.2%, 탄수화물 0.3%로 구성해 생쥐에게 나흘간 제공했다. 이후 7일 동안은 일반적인 식단을 줬다. 일반 식단은 지방 17%, 단백질 25%, 탄수화물 58%로 구성했다. 실험은 케토 식단과 일반 식단을 반복하면서 31일까지 진행했다.

실험 결과 간헐적 케토 식단을 제공한 생쥐는 세포에서 노화를 유발하는 단백질 ‘p53′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53 단백질은 암을 억제한다고 알려졌으나, 활성 산소가 쌓여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반면 케토 식단을 7일 이상 계속 유지하면 오히려 p53이 활성화되면서 세포의 노화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간헐적 케토 식단을 한 생쥐가 더 오래 사는 이유로 p53의 변화를 지목했다.

사람도 케토 식단의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실험도 진행했다. 18세 이상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케토 식단을 하도록 했다. 6개월이 지나 참가자들의 혈액을 채취해 염증 정도를 확인했다.

케토 식단을 유지한 참가자들은 혈액에서 염증과 노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단백질의 양이 늘어났다. 반면 이 기간 간헐적으로 케토 식단을 한 사람은 염증성 단백질이 거의 늘지 않거나 아주 조금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기우스 교수는 “간헐적 케토 식단이 부작용도 적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확인한 연구”라며 “케토 식단의 효과는 유지 기간과 시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좋은 효과를 낼 수도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침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참고 자료

Science Advances(2024), DOI: https://doi.org/10.1126/sciadv.ado1463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