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하루키 문장으로 클래식 감상하기

김상운 기자 2024. 5. 18. 01: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경화의 바이올린 연주는 야구로 치면 '공을 끝까지 잡고 있는 투수'를 연상시킨다. 마지막 한순간까지 소리가 손가락을 떠나지 않는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의 베토벤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61 연주를 듣고 쓴 평이다.

이 책은 덕질의 끝판왕 격인 하루키의 클래식 음반 에세이다.

그의 팬이라면 하루키가 음악(재즈, 클래식)과 야구에 얼마나 진심인지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래되고 멋진 클래식 레코드2/무라카미 하루키 지음·홍은주 옮김/380쪽·2만6000원·문학동네
“정경화의 바이올린 연주는 야구로 치면 ‘공을 끝까지 잡고 있는 투수’를 연상시킨다. 마지막 한순간까지 소리가 손가락을 떠나지 않는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의 베토벤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61 연주를 듣고 쓴 평이다. 스물아홉 살 때 야구 경기를 보다 문득 소설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하루키다운 문장이다. 당시 재즈 카페를 운영하던 그는 그날부터 글쓰기를 시작해 첫 장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1979년)를 써내 군조 신인문학상을 받게 된다.

이 책은 덕질의 끝판왕 격인 하루키의 클래식 음반 에세이다. 그의 팬이라면 하루키가 음악(재즈, 클래식)과 야구에 얼마나 진심인지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1Q84’(2009년)는 레오시 야냐체크(1854∼1928)의 ‘신포니에타’가 울려퍼지며 시작된다. 여자 살인청부업자인 주인공 아오마메가 ‘작업’을 하러 가면서 듣는 비장한 음악이다.

하루키는 약 60년에 걸쳐 소장한 클래식 레코드 1만5000여 장 가운데 전작(1권)에서 486장을 소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이보다 많은 590장을 다뤘다. ‘힘주는 걸’ 싫어하는 하루키 특유의 스타일로 명반에 대한 상찬뿐 아니라 ‘이런 게 왜 우리집에 있을까’라는 식으로 가볍게 접근한다. 자신이 수집한 티셔츠만으로 멋진 에세이를 완성한 ‘무라카미 T’(2021년)와 함께 보면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