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와 논란의 예술에 담긴 뜻은

2024. 5. 18.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가 만난 데미언 허스트
내가 만난 데미언 허스트
김성희 지음
마로니에북스

포름알데히드로 채운 유리장 안에 든 동물의 사체, 수천 개의 진짜 다이아몬드를 박은 플래티넘 해골…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생존 미술가 중 하나인 데미언 허스트의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은 미술사 책에 기록되고 수퍼리치 컬렉터의 소장품으로 각광받아온 반면, ‘그저 도발을 위한 도발이며 그걸로 돈을 번다’는 비난도 받아왔다.

이 책은 화제와 논란의 미술가 허스트를 단독으로 다룬 첫 국내 도서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으로 재직 중인 저자가 영국에서 허스트를 만나 인터뷰하고 썼다. 허스트의 삶과 주요 작품 테마를 소개한 뒤 그와의 일문일답을 실었다. 독자들은 허스트의 도발적 형태의 작품 뒤에 ‘모든 생물이 피할 수 없는 죽음’이란 일관된 주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뒤, 구체적 문답에서 개별 작품에 대해 좀 더 많은 이해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유리장 안에 동물 사체들을 주로 둘로 나누어 설치하는 이유를 묻자 허스트는 사람들이 어떤 대상에 대해 알고자 할 때 그것을 잘라서 내부를 살피면 이해했다고 느끼지만 그것은 “일종의 폭력적인 개입”이라고 설명한다. 뭔가를 잘 알고 싶다는 명분으로 그것을 반으로 갈라 죽여야만 하는 모순을 보여주고 싶었다는 것이다.

문소영 기자 symo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