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44주년 앞둔 광주, 추모 분위기 고조

나현호 2024. 5. 17. 22: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올해로 44번째를 맞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두고 광주는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는 추모제가 열렸고, 오월 영령을 기리기 위한 발걸음도 이어졌습니다.

나현호 기자입니다.

[기자]

흰옷을 입은 오월 어머니들이 추모탑 아래 제단에 분향과 헌화를 합니다.

44년 전 그날, 서른다섯이던 남편을 황망하게 떠나보내야 했던 유족은 묘비를 어루만지며 슬픔을 달랩니다.

[김말옥 / 5·18 유족 : 보고 싶어 그러지요. 이루 말할 수가 없지. 이 마음을 어디 하늘이 알고 땅이나 알지 누가 알아요?]

올해로 44번째를 맞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앞두고 추모식이 열렸습니다.

5·18 당시 계엄군 총탄에 스러져간 오월 영령에 정성껏 제를 올립니다.

44년 전 오월의 참상을 고스란히 담아낸 시가 울려 퍼지자 그날의 고통이 완연히 되살아납니다.

묘지에는 초등학생부터 중·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참배 행렬이 끝없이 이어졌습니다.

[김태린 / 전남 담양 한빛고등학교 : 진상규명이 제대로 되고 피해자분들에게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고, 그리고 처벌도 똑바로 이루어져서 세상이 조금 다시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유족들은 더는 5·18 왜곡이나 소모적 논쟁이 없도록 헌법 전문에 5·18 정신을 조속히 담을 것을 촉구했습니다.

아직도 희생자 암매장이나 최초 발포 명령자를 비롯한 진상 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며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양재혁 / 5·18민주유공자 유족회장 : 계엄군에 의해 저질러진 비도덕적인 만행 등 역사적 진실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1980년 5월, 그날의 진실이 여전히 가려져 있는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합니까?]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는 '오월, 희망이 꽃피다'라는 주제로 정부의 공식 기념식이 열릴 예정입니다.

YTN 나현호입니다.

YTN 나현호 (nhh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