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테가 베네타, 백 가격도 올렸다…올 상반기 인상 예정 브랜드는

이준호 기자 2024. 5. 17. 19: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상반기에도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올해도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이 외에도 명품 보석 브랜드인 '티파니앤코'는 지난 1월11일, 5% 안팎 가격을 올리더니 같은 달 25일에는 국내 면세점에서 판매되는 주얼리 일부 제품의 가격을 4% 안팎으로 인상하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테가 베네타 스몰 안디아모 573만원→645만원
다미아니·델보, 6월 인상 검토…크리드 인상 계획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7일 시민들이 서울시내 한 백화점에 설치된 보테가베네타 광고판 앞을 지나고 있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보테가베네타'는 이달 중으로 일부 가방 제품의 가격 인상을 단행한다. 인상 폭은 10% 내외로 알려졌다. 2024.05.07.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준호 기자 = 올해 상반기에도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명품 수요가 점차 되살아나고 있다는 점을 공략하는 것으로 보인다.

17일 명품 업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보테가 베네타(BOTTEGA VENETA)는 전날 국내에서 일부 가방 제품의 가격을 올렸다. 인상 폭은 10% 안팎이다.

대표 제품으로 '스몰 안디아모' 제품은 573만원에서 645만5000원으로 12.7% 인상됐으며, '미디엄 안디아모'는 636만원에서 691만원으로 8.6% 올랐다.

또 '안디아모 롱 핸들 클러치' 제품은 341만5000원에서 382만원으로 11.9% 올랐고, '스몰 카세트 폴더형 지갑' 제품은 88만원에서 89만원으로 1.1% 인상됐다.

보테가베네타는 지난해 11월에도 가격 인상에 나선 바 있다. 6개월 만에 또다시 가격 인상을 단행한 셈이다.

이처럼 올해도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셀린느'는 지난달 18일 '스몰 트리옹프 지갑', '스몰 트리옹프 벨트' 등 일부 지갑·벨트 제품의 가격을 4~9% 인상했고,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는 지난달 12일 피카부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6% 올렸다.

앞서 '디올'은 지난 1월 대표 인기 제품인 로즈드방, 디올아무르, 젬디올 등 고가 라인의 귀걸이·팔찌·반지 등의 가격을 최대 12% 넘게 인상했으며, '루이비통'은 지난 2월 기습적으로 일부 가방 제품의 가격을 5% 안팎으로 올렸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7일 서울시내 백화점 미우미우 광고판 앞에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프라다 계열의 명품 브랜드 '미우미우'가 최근 일부 제품에 대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미우미우는 이달 초 별도 공지 없이 일부 제품의 가격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인기 제품인 아르카디 시리즈는 7~9% 가량 올랐다. 대표적으로 '아르카디 마테라쎄 나파 가죽 백'은 365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약 9.6%, '아르카디 가죽 백 미디움'은 390만원에서 420만원으로 약 7.7% 인상했다. 2024.05.07. jhope@newsis.com


이 외에도 명품 보석 브랜드인 '티파니앤코'는 지난 1월11일, 5% 안팎 가격을 올리더니 같은 달 25일에는 국내 면세점에서 판매되는 주얼리 일부 제품의 가격을 4% 안팎으로 인상하기도 했다.

프랑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부쉐론'은 밸런타인 데이를 앞둔 지난 2월7일 국내에서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 5% 안팎의 가격 인상을 가져갔고, '프레드'는 지난 3월18일 국내에서 일부 제품의 가격을 7% 안팎으로 인상했다.

또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그룹의 '미우미우'는 '아르카디' 등 일부 제품 가격을 7~9% 가량 올리기도 했다.

명품 줄인상이 올 상반기에도 현실화 하면서,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명품을 구입하려는 소비자들이 캉카스백화점 등 서울 강남의 민트급(신품에 준하는 명품 리셀 상품) 전문점에 몰리는 점도 최근의 양상이다.

올해 상반기 내 가격 인상을 고려 중인 브랜드도 남아있다.

이탈리아 하이주얼리 브랜드 '다미아니'와 벨기에 명품 브랜드 '델보'는 오는 6월 인상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모회사 프랑스 케링그룹의 '크리드' 역시 이번 달 가격 인상을 계획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o22@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