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랠리에도 웃지 못하는 가상자산거래소, 왜?

김경민 기자 2024. 5. 17. 16: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비트코인 랠리에 힘입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도 모처럼 호실적을 거뒀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1년 전에 비해 큰 폭으로 뛰었다. 그럼에도 이들 표정은 어둡기만 하다. 비트코인 가격은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지만 거래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데다, 수수료도 내려 수입이 줄었기 때문이다. 가상자산에 대한 투심도 한풀 꺾이고 마케팅 등 비용 부담은 커지고 있어 거래소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은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72% 상승한 1382억원, 영업이익은 283% 증가한 621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지난해 ‘크립토윈터’(가상자산의 가치가 폭락하고 거래량이 급감하는 현상)로 약 15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1분기 만에 지난해 연간 매출액(1360억원)을 뛰어넘는 실적을 거뒀다. 거래량 기준으로 73%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도 같은 기간 매출액은 5311억원, 영업이익은 33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넘게 반등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1억원을 돌파하며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12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에 비트코인 시세가 표시돼 있다. 2024.3.12 성동훈 기자

거래소가 호실적을 거둔 것은 올해 초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와 반감기(공급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현상) 기대 효과가 작용하며 투심이 살아났기 때문이다. 가상자산 정보 업체 코인게코에 따르면, 연초 35억달러(4조7425억원) 수준이던 업비트의 거래량은 2월 말에는 99억달러(13조4145억원) 수준까지 급등했다. 거래소는 수입의 97% 이상을 거래수수료에 의존하는데, 거래량 증가로 수입이 급등한 것이다.

부진은 씻어냈지만 업계가 바라보는 현재 상황은 낙관적이진 않다. 지난해 말부터 수수료 무료·인하 이벤트를 진행했음에도 거래량은 2021년 상승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수료를 4분의1 수준으로 인하했으면 거래량도 4배는 돼야 본전이지만, 지금은 정반대”라며 “업계 입장에선 착잡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내 거래소는 비트코인보다 알트코인(비트코인 외 가상자산)의 거래 비중이 높지만, 역대 최고점을 경신했던 비트코인과는 달리 알트코인의 시가총액은 2021년 수준을 뛰어넘지 못했다. 유동성을 타고 자금이 유입됐던 2021년과 달리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데다, ETF로 자금이 유입된 비트코인에 자금이 주로 집중됐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빗썸이 이용자 확보를 위해 지난해 말부터 올 2월까지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하고 이후엔 수수료를 기존 0.04~0.25% 수준에서 0.04%로 인하하면서 수입은 그만큼 줄어들게 됐다.

문제는 가상자산 투심을 회복할만한 호재도 부재하다는 점이다. 3월 초 150억달러를 넘겼던 업비트 거래량은 17일 기준으로 10% 수준인 15억달러까지 떨어졌다. 1분기 실적과 거래량 감소 추이를 감안하면 업계 1위 두나무도 2021년 기록한 매출액(3조7046억원)의 절반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당장 7월 중순 도입되는 가상자산법에 따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해 비용 부담도 크다.

그나마 업비트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전체 점유율의 약 25%를 차지한 빗썸과 1% 이하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코인원, 코빗 등 중소 거래소들은 생존을 위한 투쟁에 나서고 있다.

빗썸 출금수수료 최저 보상 이벤트. 빗썸 제공

공격적 행보를 펴고 있는 곳은 빗썸이다. 빗썸은 최근 이마트24에서 기부 도시락을 구매하면 3만원 상당의 비트코인 교환 쿠폰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4일엔 타 거래소보다 출금 수수료가 비쌀 경우 수수료 차액을 지급하는 출금수수료 보상제도 진행한다고 밝혔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점유율 확대도 필요하고 신규 회원도 유치하기 위해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거래소들이 수수료 의존 구조를 탈피하지 못하는 만큼 업황에 따른 타격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두나무, 빗썸과 달리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소형 거래소는 자금 부족으로 당장 신사업을 추진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