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호 아니면 누가 가능했겠나, '삼식이 삼촌'이라는 독보적 캐릭터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4. 5. 17. 16: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식이 삼촌’, 먹고사니즘에만 몰두했던 시대의 느와르

[엔터미디어=정덕현] "피자 아세요? 드셔 보신 분? 의원님, 드셔 보셨습니까? 제가 유학시절에 피자집 다락방에서 살았습니다. 하루 한 끼 제대로 못 먹던 유학시절에 매일 피자 굽는 냄새에 밤잠을 설쳤습니다. 여러분 총칼이 아니라 경제입니다. 누구도 끼니 걱정하지 않는 나라. 하루 세끼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나라! 제가 유학시절에 가장 부러웠던 건 전투기도 항공모함도 아니었습니다. 바로 피자였습니다. 전 국민이 굶으면서 전쟁에 이기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개혁당 주인태(오광록)를 지지하는 연설에서 김산(변요한)이 하는 피자 이야기에 박두칠(송강호)의 눈이 반짝 빛난다. 그 역시 대한민국 정재계를 쥐고 흔드는 청우회 사람들 앞에서 한바탕 피자 이야기를 꺼냈던 적이 있어서다. 박두칠은 그 자리에서 김산이 앞으로 자신과 함께 같은 꿈을 펼쳐나갈 거라는 예감을 한다. 그건 김산이 연설에서 했던 말처럼, '하루 세끼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나라'에 대한 꿈이다.

디즈니 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 <삼식이 삼촌>은 1950년대 말부터 60년대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박두칠과 김산이 각자의 욕망과 꿈을 펼쳐나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알다시피 당시는 이승만 정권 말기로 3.15 부정선거가 치러지고 5.16 군사 쿠데타가 벌어져 군부 독재가 시작되던 시기다. 전후 피폐했던 삶은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가장 시급할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하루 세끼를 굶지 않고 먹기 위해서라면 뭐든 할 수 있다는 욕망들이 꿈틀대던 시대다.

<삼식이 삼촌>이라는 캐릭터가 독보적일 수밖에 없는 건, 바로 이 먹고사니즘이 극단화된 시대를 이만큼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이 없기 때문이다. 그가 삼식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에 대해 김산은 이렇게 말한다. "전쟁 중에도 하루 세끼 다 먹였다고. 자기 식구 친구 친척 그 누구도 굶기지 않는다고." 이 인물에게 먹고사니즘은 자신의 삶의 목표이자 방식이다. 그 역시 단팥빵 하나 먹기 힘들었던 시절을 겪었지만 이제는 그 가게를 자기 소유로 하고 언제든 빵을 먹을 수 있는 사람이 됐다.

그는 사람들의 마음을 얻는 데 있어서도 바로 이 "먹여주는" 방법을 쓴다. 총칼이 아닌 경제에 대한 꿈을 갖고 있지만 혁신당 총수 주인태의 딸 주여진(진기주)과 헤어질 수 없어 박두칠이 제안하는 청우회 사람들과 뜻을 같이 하지 못하는 김산을 회유하는 방식도 바로 그 먹여주는 방식이다. 그는 김산의 집에 쌀을 갖다 주고 비싼 과자를 사주기도 한다. 물론 먹여주는 건 음식만이 아니다. 뇌물도 먹이고 때론 막강한 권력을 가진 자리도 제안한다.

그 모든 것들이 먹고 사는 문제에 걸려 있다. 주인태 같은 정치인들은 개혁만이 살길이라고 외치는데 그것도 서민들의 먹고 사는 문제이고,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청우회 사람들도 공단을 만들려 하는데 그 명분 또한 먹고 사는 문제다. 물론 그 실상은 그들이 독식하는 돈과 권력의 문제이지만. 삼식이 박두칠은 이렇게 배고픈 욕망들이 널려 있는 사회 곳곳의 사람들을 이용한다. 각자가 갖고 있는 욕망들을 부추겨 자신에게 유리하게 행동하게 만든다.

<삼식이 삼촌>은 훗날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같은 것들이 만들어져 이른바 압축성장을 해내는 이 나라의 밑그림 속에 바로 그 삼식이 같은 인물의 먹고사니즘에 대한 욕망이 자리해 있다는 걸 그려내면서 동시에 거기 깔려 있는 시대의 비극들 또한 포착해간다. 즉 먹고 사는 문제만 해결되면 된다는 식의 절실함이 포기했던 무수한 인권들과 생명들과 대의들 같은 것들을 그려낸다. 그건 어쩌면 이제 먹고 살만해진 현재의 우리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양극화의 문제 같은 그 압축성장의 후유증이 생겨난 원인들이기도 할 게다.

여러 욕망들을 가진 인물들이 등장하고, 삼식이 삼촌 박두칠은 모든 그 욕망들과 연결되어 있다. 거대한 한 시대의 흐름이 박두칠이라는 인물과 끈으로 연결된 무수한 욕망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져 가는 과정이 그려진다. 그래서 박두칠이라는 인물은 이 작품에서 절대적인 위치에 서 있다. 모든 욕망이 발현되고 촉발되며 그로 인해 사건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이 인물이 납득되어야 <삼식이 삼촌>이라는 작품이 공감될 수 있는 구조다. 당연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송강호는 역시 이러한 무게감을 든든히 떠받칠 수 있을 만큼 어찌 보면 다소 판타지적인 이 인물에 자연스러움을 부여한다. 때론 몰아붙이다가도 때론 인간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그러면서도 목적을 위해서는 싸늘한 배신도 서슴지 않는 다양한 얼굴들을 삼식이 삼촌이라는 하나의 캐릭터로 단단히 붙잡아 놓는다.

또한 다소 복잡할 수 있는 많은 인물들의 이야기로 펼쳐지는 <삼식이 삼촌>의 구심점 역할을 해주기도 한다. 많은 이야기의 갈래들의 송강호가 연기하는 박두칠이라는 인물로 수렴되고 거기서 또다시 새로운 이야기로 변주된다. 과연 송강호가 아니라면 감당이 가능할까 싶은 인물의 역할이 아닐 수 없다. 첫 드라마 출연이라고 겸양을 내보이고 있지만, 송강호에 의한, 송강호를 위한, 송강호의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연기를 선보이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삼식이 삼촌>이라는 당대를 대변하는 독보적 캐릭터를 창조해낸 신연식 감독의 지분이 분명하다. 세 끼를 굶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것이 꿈이었던 시대를 이토록 명쾌하게 보여주는 캐릭터가 있을까. 이제 5회가 공개되었지만 향후 박두칠과 김산이라는 현실과 이상을 대변하는 두 인물이 어떻게 격동기를 헤쳐나가며 그들이 꿈꾸던 경제를 실현시켜 나가는지 남은 회차들이 못내 궁금해진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디즈니 플러스]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